“있는 그대로 써라”
  • 표정훈(출판평론가) ()
  • 승인 2005.08.26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일책] <권력과 언론>/기사로 증명한 <슈피겔> 자유언론 신화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의 창간인이자 발행인 루돌프 아우크슈타인(1923-2000)은 2차 대전 이후 독일 언론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힌다. 이 책은 그런 아우크슈타인이 슈피겔에 발표했던 중요한 시사평론, 대담, 강연 등을 담고 있다. 부제목은 ‘슈피겔의 신화, 루돌프 아우크슈타인의 위대한 기록’이다. 슈피겔은 “슈피겔이 움직이면 관리들이 떤다”, “슈피겔은 민주주의를 지키는 대포다” 이런 평가를 받으며 특히 정치권 부정부패를 파헤치는 데 가장 앞장 선 매체로 명성이 높다.

슈피겔은 1947년 발행 첫해의 부수는 1만5천 부 남짓이었지만 현재는 1백13만 부를 발행 중이다. 슈피겔이 급성장하면서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가 될 수 있었던 요인은 다름 아니라 ‘성역 없는 보도’였다. 슈피겔은 크고 작은 수많은 소송을 통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려는 세력과 맞서 싸워 왔다. 아우크슈타인이 이 책을 통해 내내 강조하는 것도 언론의 독립성이다. 그는 비판적 분석이 없는 단순한 사실 보도를 지양했고, 비판할 내용이 있으면 정당이나 정파를 가리지 않고 가차없이 독설을 퍼부었다. 
 
그러나 비판 기능에 충실하다보면 비판당하는 쪽과 크고 작은 갈등을 겪기 마련이다. 1962년 당시 서독 경찰은 슈피겔 사무실을 압수 수색하고 발행인 아우크슈타인과 기자 몇 명을 체포, 투옥시켰다. 슈피겔이 서독 국방부의 스캔들을 잇따라 폭로한 것에 앙심을 품은 당시 국방장관이, 슈피겔 보도 내용이 국가 기밀을 누설했다면서 아우크슈타인을 투옥시킨 것이다. 그러자 슈피겔 독자를 비롯한 수천 명의 시민이 가두 시위를 벌이며 슈피겔을 지지했고, 결국 아데나워 총리와 국방장관은 사임했으며, 1966년 아우크슈타인과 기소된 기자들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 ‘서독의 민주주의는 슈피겔 사건과 함께 시작됐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독일 현대 정치사 또 언론사에서 이 사건의 의미는 컸다.  

 
시민의 알 권리와 정부의 공적 이해 관계가 충돌할 때도 있다. 언론은 그런 충돌 지점에서 갈등하게 된다. 슈피겔은 1977년 3월 ‘시민 T씨에 대한 도청’이라는 표지기사를 통해 원자력발전소 운영자에 대한 정부 기관의 불법 도청 관행을 폭로했다. 그러자 다른 언론인들이 슈피겔이 언론윤리법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원자력발전이라는 중요한 그리고 위험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도청을 해서라도 감시가 필요하다고 보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아우크슈타인은 공무상 비밀 누설 혐의와 공익 사이에서 언론의 역할은 의연하게 공익, 즉 보다 많은 시민들에게 정확히 알리는 데 무게를 둬야 한다고 반박했다. 역시 성역 없는 보도 원칙을 일관되게 지킨 것이다.

“기자의 금기는 정치인과 호형호제하는 것”

성역 없는 보도에 충실하다보면, 취재하기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아우크슈타인은 정치인 킬러로 명성이 자자했다. 때문에 정치인들은 노골적으로 그를 배척하곤 했다. 16년 간이나 재임한 헬무트 콜 총리는 슈피겔한데 워낙 자주 얻어맞은 탓에, 재임 기간에 단 한 번도 슈피겔과 인터뷰를 하지 않았다. 우리에게 동방정책의 기수로 잘 알려진 빌리 브란트 총리도 아우크슈타인의 비판에 질려 슈피겔을 ‘쓰레기 언론’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러나 슈피겔은 콜이 독일 통일을 이끌자 그를 크게 칭찬하고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 하지만 얼마 안 가서 다시 콜의 실정을 날카롭게 비판하기 시작했다. 잘 하는 것을 잘 한다고 평가하고, 못 하는 것을 못 한다고 비판하는 것, 이게 슈피겔 스타일이라고 한다. 신문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정치적 성향인지 상업주의적 고려인지 불분명하지만) 논조가 편향적인 우리 신문들과 비교된다. 흥미로운 것은 헬무트 콜도 ‘독일에서 언론의 자유는 아우크슈타인의 용기와 모범에 힘입은 바 크다’고 평가했다는 점이다.  

몇 달간이나마 국회의원을 지내기도 했던 아우크슈타인은 정치와 언론의 관계 문제를 이렇게 말한다. ‘저널리스트는 선거에 이기고 정당을 후원하라고 위임장을 받은 게 아니다. 기자가 정치를 하려고 하면 스스로 패자가 된다. 저널리스트 최악의 적은 정치인과 호형호제하며 허물없이 지내는 것이다. 나는 많은 정치인과 개인적으로 가깝게 지냈지만, 결코 저널리스트로서 가깝게 지내지는 않았다. 저널리스트는 정치인과 영원한 우정을 나눌 수 없다.’ 이른바 안기부 도청 X파일에 등장하는 누구보고 들으라는 소리 같다. 언론이 스스로 경계해야 할 점에 관한 그의 충고는 계속 이어진다. ‘슈피겔이 직면한 가장 큰 위험은 최대한의 흥미를 추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실을 무시할 때이다. 부수가 늘어나는 건 발행인으로서 분명 기쁜 일이지만, 그것은 결코 슈피겔의 성공 잣대가 될 수 없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