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강남, 한겨레는 일산
  • 이윤삼 편집국장 (yslee@sisapress.com)
  • 승인 2005.08.26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동산종합대책에 대한 논란이 한창이다. 기사도 쏟아져 나온다. 기사를 쓰는 기자들은 어디에서 살까?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해 보기로 했다. 조선일보·한겨레 편집국 기자 각각 3백6명과 2백47명(논설위원·임원실·사장실 포함)을 대상으로 했다. 조선의 경우 자체 발행한 <Phone & Address>(2003년)를 참고로, 인터넷 전화번호부를 이용해 사는 지역을 역추적했고, 한겨레는 사내 비상연락망(2003년)을 텍스트로 삼았다.


조선일보 기자 중 기자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서초구 29명(9%) 강남구 26명(8%) 용산구 21명(7%) 서대문구 15명(5%) 일산 13명(4%) 송파구와 고양이 각각 12명(4%) 순으로 나타났다. 한겨레 경우는 일산 22명(9%) 고양 21명(9%) 마포구 19명(8%) 강남구와 서대문구 각각 12명(5%) 양천구 10명(4%) 순으로 드러났다.

또 강남 서초 송파 양천 분당 과천 등 지역 아파트 평균 가격이 4억원을 넘는 지역(2004년 12월 기준)에 거주하는 조선일보 기자는 1백8명(35%), 한겨레 기자는 51명(20.6%)이었다.


양사 기자들이 평기자에서 간부로 승진하면서 거주지가 어떻게 변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평기자와 차장급 이상 간부들의 거주지를 분리해서 분석해 보았다. 그러나 기자 전체의 거주지 분포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연봉 차이가 대체로 거주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두 신문사에 근무하는 기자들의 ‘한평생’ 거주지 흐름도 볼 수 있다.


물론 이 조사는 기자들의 주택 소유 여부, 형태나 규모까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거주지는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미래에 한 개인의 사회경제적 위치를 결정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기자들의 거주지는 출신지, 연봉, 출신 학교 등에 대한 분석만큼이나 언론인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생각이다.


지난 8월19일 재경부는 출입기자단 50명을 초청해 부동산정책 토론회를 가졌다. 재경부 관계자에 따르면, 기자단 기류는 크게 두 갈래였다. 이번 정책이 ‘경기 회복에 찬물을 끼얹는 반시장적 정책’이라는 쪽과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정책’이라는 기류. 조선일보 등 메이저 언론 기자들이 대체로 전자의 입장을 취했다면, 한겨레와 방송사 기자들은 후자 쪽이었다고 한다.


다음 주에는 방송사 기자들의 거주지를 분석해볼 예정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