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다, 장이머우 이렇게 귀환해서
  • 안철흥 기자 (epigon@sisapress.com)
  • 승인 2006.07.1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평]

 
장이모우(張藝謀)라는 이름이 주는 느낌은 세대에 따라 다를 것이다. 2000년 이후에 그의 영화를 접한 관객들은 <영웅>과 <연인>에서 본 광대한 스케일과 화려한 영상미를 우선 떠올린다. 하지만 <집으로 가는 길> <책상서랍 속의 동화>를 보며 중국 사회의 속살을 엿봤던 관객이나, <붉은 수수밭>의 장엄한 영상미에 취해본 이들에게 최근의 장이모우는 씹히기 딱 좋은 ‘변절자’나 마찬가지였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장이모우의 새 영화 <천리주단기>를 마주한 감회는 새로웠다. 같이 극장 시사를 다녀온 동료에 따르면 영화는 ‘장이모우의 귀환’으로 불릴 만하다. 그의 솜씨가 소박한 이야기에서 더 빛을 발하는 사실은, 그에게는 불행일지라도 그의 영화를 좋아하는 팬들에게는 다행스러운 일이다. 

‘천리주단기(千里走單騎)’는 홀로 말 타고 천리를 달린다는 뜻이다. <삼국지>에서, 조조에게 몸을 의탁하고 있던 관우는 유비의 행방을 알게 된 후 만류를 뿌리친 채 적장의 목을 베어가며 주군을 찾아간다. 이 영화에서, 천리주단기는 관운장 이야기를 다룬 영화 속 경극 제목이면서, 주인공 다카타 고우이치(다카쿠라 켄)의 여정을 은유한 말이기도 하다.

어촌에서 홀로 사는 노년의 다카타에게 어느 날 전화가 걸려온다. 며느리 리에(데라지마 시노부)다. 아들 켄이치가 간암 판정을 받고 도쿄의 병원에 입원해 있다는 것이다. 다카타는 아들과 오랫동안 연을 끊고 살았다. 다카타가 어렵게 병실을 찾지만, 아들은 아버지의 방문을 거절한다. 쓸쓸히 돌아서는 그에게 리에가 비디오 테이프를 하나 쥐어준다.

켄이치가 찍은 비디오를 보며 다카타는 아들이 중국의 경극에 빠져 지냈고, 지난해 촬영하지 못했던 경극 ‘천리주단기’를 올해 다시 찍기로 배우 리쟈밍과 약속했음을 알게 된다. 그는 아들 대신 리쟈밍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중국 윈난성(雲南省)으로 긴 여행을 떠난다.

현대 사회의 소통 장애 은근히 풍자

영화 속에는 두 쌍의 부자가 등장한다. 다카타는 젊은 시절 아내가 죽자 아들을 두고 어촌으로 도피해버렸다. 켄이치는 그런 아버지를 평생 용서하지 못한다. 다카타가 찾아간 중국의 경극 배우 리쟈밍 역시 사생아 양양(양젠보)을 낳았지만 돌보지 못한 아픔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다카타가 현지에 도착했을 때 리쟈밍은 사생아가 있다며 놀린 동료를 칼로 찌른 뒤 교도소에 수감된 상태였다. 엄마의 친정인 ‘석촌’에서 마을 어른들에게 양육되던 어린 양양은 아버지가 찾는다는 소식을 듣고도 만나기를 거부한다.

 
소통 부재는 두 쌍의 부자에게만 국한된 아픔이 아니다. 장이모우는 다카타의 여행에서 현대 사회의 소통 장애를 은근히 풍자한다. 가이드 겸 통역 재스민이 떠난 뒤 새롭게 가이드를 맡은 중국인 링고의 일본어 실력은 형편없다. 다카타가 교도소장이나 석촌의 촌로들과 나누는 대화는 이중 통역을 거치면서 끊기거나 왜곡된다. 소통이 어려울수록 다카타의 여정 또한 복잡하게 꼬인다.

장이모우가 이 우화의 얽힌 매듭을 풀어내는 방식은 따뜻하고 근원적이다. 다카타는 아버지와 만나기 싫어 도망친 양양을 쫓다가 길을 잃는다. 늙은 다카타와 어린 양양은 산 속에서 하룻밤을 보낸 뒤, 평생 느껴보지 못했던 ‘부자의 정’을 체험한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이들이 대화로 정을 나눴을리는 만무하다. 다카타는 어린 양양을 보며 죽어가는 아들 켄이치를 비로소 이해한다.

장이모우는 중국의 현지 주민들을 단역 배우로 출연시키며 리얼리티를 살렸다. 영화 대부분을 중국 윈난성 ‘리장’에서 찍어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위롱쉐(玉龍雪)산의 절경을 한껏 감상할 수 있다. 올해 75세인 다카쿠라 켄은 ‘무표정한 표정’으로 고독하고 아련한 늙은 아버지의 심경을 완벽하게 연기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