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살리기보다 고객 피해 최소화가 더 급하다”
  • 이철현 기자 (lee@sisapress.com)
  • 승인 2011.05.10 05: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태호 부산저축은행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인터뷰

지난 4월13일 경영진 10명이 구속 기소되고 11명이 불구속 기소되면서 부산저축은행 수뇌부는 붕괴되었다. 간신히 구속을 면한 집행 임원 네 명도 날마다 검찰 조사에 끌려다니다 보니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지점장 여덟 명을 위시해 상당수 직원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정태호 부산저축은행 센터지점장이 비대위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지난 5월4일 부산 센텀지점에서 정태호 지점장을 만났다.

왜 부산저축은행 임직원이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었나?

비대위 명칭이 고객 피해 최소화 비상대책위원회이다. 부산저축은행 살리기보다 고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이 임직원들의 생각이다. 부산저축은행을 믿고 돈을 맡긴 고객의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 와중에 임직원이 나선다고 무슨 뽀족한 방법이 있겠는가?

금융감독원이 은행 자산 가치를 형편없이 평가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의 자산은 궁극적으로 고객 예금 상환에 사용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형편없이 저평가되어 제3자에게 팔리면 매입자만 좋다. 그만큼 고객에게 돌아갈 돈이 줄어들게 된다. 담보 부동산을 장부 가격이나 기준 시가로 산정하지 말고 시가로 반영해 제대로 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캄보디아에서 진행되는 사업은 9천억원이 넘는 사업인데 금감원은 1천억원 이하로 평가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이 자산 부채 이전 방식(P&A)으로 제3자에게 넘어가더라도 제값을 받고 넘어갈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지 않겠는가.  

부산저축은행이 금융 복마전으로 지탄받는 데는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도 크게 작용했다. 

창구 직원 일부가 사전 인출에 가담한 것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 다시 고객들에게 사죄드린다. 하지만 직원 입장에서도 억울한 것이 많다. 부산저축은행 사태로 인한 최대 피해자가 직원들이다. 직원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5천만원에서 2억2천만원에 이르기까지 부산저축은행 후순위 채권을 매입하거나 증자에 참여했다. 직장 생활로 차곡차곡 모은 목돈을 한꺼번에 날리게 생겼다. 이 와중에 경영진 잘못에 대한 비난까지 감수하고 있다.

경영진이 지시한 불법 대출이나 분식회계를 수행한 것은 임직원 아닌가?

특수 목적 회사(SPC)에 대출한 것이 불법인 줄 몰랐다. 은행 입장에서는 사업성만 보고 거액을 대출해야 하는데 시행사를 믿지 못하므로 SPC를 새로 만들어 시행사 리스크를 피하고자 했다. 그렇다 보니 시행사 지분의 상당 부분을 임직원 친·인척에게 준 것도 사실이다. 통장과 인장은 모두 은행이 관리했다. 해당 프로젝트가 성공해 수익이 발생하면 경영진이 임명한 친·인척이 이득을 보지 않겠냐는 지적은 기우이다. 그 전에 대출수수료나 금융자문수수료 명목으로 은행에서 빼앗아가기 때문에 단 한 번도 수익이 난 적이 없다. 대출 수수료나 금융 자문 수수료를 선취해 매출로 인식한 것도 금감원에 수시로 의견을 물어 금감원으로부터 허락받은 회계 처리 방식이다. 영업정지가 되자마자 갑자기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하니 이해할 수 없다.

앞으로 비대위는 무엇을 하는가?

회사 살리기보다 임직원 명예 회복이 우선이다. 얼마 전 장모마저 ‘자네 정말 (영업정지 처분을) 미리 알지 못했나’라고 묻더라. 부산저축은행 직원 84명은 잘못된 언론 보도와 선입견 탓에 하루하루가 힘들다. 부산저축은행 임직원이 잘못한 것이 있다. 다만 잘못한 만큼만 혼나고 싶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