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맛살 살 땐 첨가물 확인하세요
  • 조현주 기자 (cho@sisapress.com)
  • 승인 2013.10.02 13:3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HO가 유해 물질 규정한 천연색소 ‘코치닐’ 사용…비염·천식 등 알레르기 위험

초등학생 딸을 둔 주부 조 아무개씨(서울 마포구, 43세)는 요즘 대형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다른 때보다 배로 늘어났다. 방사능 오염수 등으로 인한 먹거리 안전성에 대한 걱정이 커지면서 식품을 살 때는 더 꼼꼼하게 원재료와 성분을 따지게 됐기 때문이다. 조씨는 “요즘은 원산지 외에도 어떤 식품첨가물을 썼는지까지 자세히 살핀다”며 “합성 첨가물이 많이 들어간 식품은 웬만하면 구입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부들에게 특히 눈길을 끄는 문구가 바로 ‘천연’이다. 똑같은 식품첨가물이라도 이 문구가 붙으면 안심이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첨가물은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천연 첨가물 가운데 유해성 논란으로 사용이 금지된 사례도 있다. 천연색소인 꼭두서니 색소는 동물실험에서 신장암을 유발한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보고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4년 사용이 금지됐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유해 물질로 규정한 식품첨가물인 ‘코치닐 추출 색소’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다수 게맛살 제품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코치닐 추출 색소는 중남미 지역 선인장에 기생하는 연지벌레를 건조시킨 후 분말로 만들어 추출한 천연색소로 붉은빛을 내는 데 쓰인다. 최근 코치닐 색소 제조 과정에서 연지벌레가 분비하는 물질이 알레르기뿐만 아니라 ADHD(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다.

WHO는 코치닐이 두드러기·비염·천식 등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위험이 크다며 소비자에게 주의를 권고한 바 있다. 영국의 ‘과잉행동장애아동지원단체’는 코치닐을 섭취할 경우 과잉행동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이 물질을 어린이 음식 첨가 금지 물질로 지정했다. 지난해 5월 일본 식약청은 코치닐이 첨가된 제품을 취급하는 전국의 사업자에게 발병 사례에 대한 보고를 요구했다.

코치닐·타르 색소·아질산나트륨 등 유해 식품첨가물이 함유된 인스턴트 식품들 이미지. ⓒ 시사저널 최준필
식품첨가물 표기 규제 없어 ‘천연색소’로 포장

현재 국내 게맛살 제조업체 대다수는 맛살의 붉은색을 내기 위해 코치닐 색소를 사용하고 있다. 상당수 업체가 위해성 논란을 사고 있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하면서도 그것이 지닌 위험성은 전혀 알리지 않고 있다. 시장점유율 1위인 한성기업의 ‘크래미’, CJ제일제당 프레시안의 ‘안심크랩’, 동원F&B의 ‘크래시앙’ 등 대다수 게맛살 제품은 코치닐 색소에 대해 ‘천연색소’라고만 표기하고 있다.

문제는 합성 색소인 타르 색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천연색소인 코치닐 추출 색소를 사용하는 제품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과자·음료·아이스크림 등 어린이들이 즐겨 먹는 식품에 코치닐 색소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지난 6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목희 민주당 의원이 발표한 ‘국내 코치닐 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코치닐 색소를 사용하는 국내 식품 2322개 가운데 캔디·과자 등 어린이들이 주로 소비하는 제품이 1254건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치닐 사용 제품 중 54%가 어린이들이 주로 먹는 과자류에 분포돼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환경의학 전문가인 임종한 인하대 의과대학 교수는 “최근 들어 코치닐 색소를 사용하는 식품이 크게 늘어났지만 이를 표기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화장품은 코치닐 색소를 사용할 경우 성분 표시와 함께 위험성을 표기하도록 규제하는 조항이 마련돼 있는 데 반해 식품에 대해서는 이에 관한 규정이 없어 문제가 크다”고 말했다.

이는 식품첨가물의 위해성에 관한 명확한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데 따른 결과다. 임 교수는 “코치닐 색소 외에도 하루 허용치, 제품별로 얼마만큼의 양이 들어갈 수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가 많다”며 “타르 색소만 해도 외국에서는 허용량 제한 규정이 있지만 한국은 타르 색소 사용이 가능한 식품만을 지정할 뿐 함량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과다 사용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시사저널 구윤성
편의점의 ‘효자 상품’은 단연 ‘삼각김밥’이다. 종류도 다양하고 먹기도 간편해 많은 사람이 끼니 대용으로 애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조그마한 김밥 하나에 들어가는 식품첨가물 종류는 15~20가지에 이른다.

삼각김밥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쌀은 보통 2~3년 묵은 것이 대부분인데 묵은 쌀을 햅쌀처럼 둔갑하기 위해 각종 화학조미료와 유화제가 들어간다. 또 얼려도 딱딱해지지 않도록 효소, 사과산칼슘, 에탄올, 지방산글리세린에스테르 등을 첨가한다. 밥이 아니라 화학물질 덩어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삼각김밥 포장지를 아무리 살펴봐도 수많은 첨가물에 대한 표기는 찾을 수 없다. 이에 대해 임종한 인하대 교수는 “삼각김밥 하나에 들어간 복합조미료 수가 엄청난데 그런 것을 명기하지 않고 대부분 ‘소스’라고만 표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편의점의 즉석 조리 식품은 더 유의해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공 포장된 족발·어묵·떡볶이 등 즉석 조리 식품에는 엄청난 양의 식품첨가물이 들어가 있는 데다 포장 용기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열을 가하면 환경호르몬 물질이 곧바로 음식으로 흘러들어간다는 것이다. 임 교수는 “식품을 고를 때는 라벨에 표기된 성분을 꼼꼼히 살펴 ‘MSG, 아질산나트륨, 캐러멜 색소, 벤조피렌 등 유해 물질이 들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 가능한 한 덜 조리된 음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시사저널과 정보공개센터가 주최하는 '제1회 정보공개청구 대회'에 좋은 자료를 보내주세요. 기사도 만들고 상금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