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상시 대규모 자금 유출 가능성 낮아
  • 원태영 기자 (won@sisabiz.com)
  • 승인 2015.11.03 17:09
  • 호수 136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금융 불안 확산 가능성 낮아”
자료=한국은행

미국 연방준비은행(Fed)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국내에서의 자금유출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일 발간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는 미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올해 9월 정책금리경로 전망을 인용해 연방기금금리는 올해 인상이 시작돼 2018년 말 3.375% 수준까지 인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경우 전체적인 금리인상폭은 3.25%포인트로 작지 않지만 인상 기간이 36개월에 달해 월평균 인상폭은 0.09%포인트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1990년대 이후 미 연준의 금리인상기는 세 차례 있었다. 당시 월평균 금리 인상폭은 0.15~0.23%포인트였다. 이에 따라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긴축 효과는 과거 금리인상기에 비해 작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유출자금 규모가 과거에 비해 커질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금 잔액은 지난해 말 7287억달러로 과거 미 금리인상 시작 시점이었던 2004년 6월 말 2543억달러에 비해 약 3배 가량 늘었다. 외국인 투자자금 순유출이 발생한 월의 평균 자금유출도 2007년 이후 올해 7월까지 평균 48억달러로 과거 금리인상기(12~14억 달러)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경상수지와 외화부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이 크게 개선됐고 외국인 투자자금의 안정성도 높아졌기 때문에 금융불안이 크게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경상수지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4.1%로 과거 인상기 수준(-1.4~1.9%)에 비해 높아졌고, 외화부채 대비 외환보유액 비중도 79.7%를 기록하는 등 기초 경제여건이 여타 신흥시장국 평균을 크게 웃돈다. 또 외국인 투자자금도 상대적으로 장기투자성향이 강한 채권자금 비중이 과거 금리인상기 20%대 초반 수준에서 올 2분기 29.6%로 높아졌다.

아울러 국가신용등급도 2007년말 경제협력개발구(OECD) 34개 회원국 중 최하위권인 31위에서 올 9월 18위로 높아지면서 원화표시자산에 대한 투자선호도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다만 한은 관계자는 “중국의 경기둔화나 일부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 등에 대한 우려와 함께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와 폭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며 “위험회피 성향이 확산되면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에 대해 계속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