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가 중요하지 않다
  • 박준용 기자 (juneyong@sisapress.com)
  • 승인 2016.07.11 17: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주도 레이더 한반도 설치 자체가 韓․中 갈등 유발

 


대(對) 중국용일까, 대(對) 북한용일까. 고도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이하 사드)설치 논란은 사드 레이더(AN/TPY-2 X-Band 레이더) 탐지거리를 놓고 전개되고 있다.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국방부의 설명과 미 국방부․일부학계의 주장이 부딪친다.

국방부는 사드가 북한의 미사일을 견제하는 용도로 그칠 것이라 말한다. 최대 탐지거리도 600~800km수준이므로 중국에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비등하다. ‘미사일방어국 2012년 예산추계’에 따르면 사드 레이더를 사드에 최적화된 모드(종말모드)에서 최대 2000km까지 탐지 가능한 ‘전진모드’로 바꾸는 데는 8시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돼 있다.

 

 

관련기사 - 결국 ‘사드’ 배치 결정…그에 관한 의혹과 진실

하지만 정작 중국은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를 문제의 핵심으로 보지 않는 모양새다. 이는 중국이 한국의 미사일 탐지 레이더에 보인 반응으로 미루어 알 수 있다. 한국군은 이미 1000km 이내의 모든 비행물체를 탐지 추적할 수 있는 SPY-ID(V) 레이더(이지스함 탑재), 900km까지 탐지하는 슈퍼그린파인 레이더를 설치해 운용하고 있다. 이 레이더들은 국방부가 설명한 사드 레이더 보다 탐지거리만을 놓고 보면 우위에 있다. 사드 도입 전에도 한국이 레이더들을 잘 활용한다면 중국까지 범위를 넓혀 탐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도 이제껏 중국은 한국의 이런 레이더 설치 뿐 아니라,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에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중국은 미사일 레이더 방어체계를 한국이 자체로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동안 아무 지적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도 중국 북동부 지역 헤이룽장성의 우주관센터에 설치된 장거리 레이더를 통해 한반도를 탐지할 수 있었다. 이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550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해 사드 도입 논의 이전에는 한․중 양국이 서로의 영토를 내다보는 레이더를 설치했지만 서로 문제 삼지 않았던 셈이다.

결국 중국은 사드의 탐지거리를 두고 ‘당장 위협이 된다’는 것 보다는 인접한 한반도에 미국이 주도하는 군사 전략 구도가 형성되는 것에 위기의식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중국 관영언론 《환구시보》는 이 같은 맥락의 이야기를 보도하고 있다. 이 언론은 올해 2월 항공잡지 간부의 말을 빌려 "레이더 탐지거리가 가깝든 멀든 사드가 한국에 배치되면 중국에 일정한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문제의 핵심은 이 시스템이 계속 업그레이드 될 가능성"이라며 "(실제 배치된)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가 얼마나 되는지는 (외부에서) 식별할 방법도 없다"고 설명했다.

홍현익 위원도 “사드는 미국이 주도한 체계다. 이 체계가 한국에 설치될 경우 미국의 전략구도가 한국에 완성된다. 이를 보고 중국은 ‘한국은 미국의 하수인’이라며 반발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국방부의 설명대로 사드의 탐지거리가 중국에 미치지 않더라도 설치하는 것 자체가 중국․러시아와 우호를 해쳐 위기를 자초할 수 있다는 뜻이다. 홍 위원은 “그래서 차라리 한국이 미사일 방어체계를 보완해야한다면 미국의 지원을 받아 직접 주도했어야 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