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른도 좋아하지만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햄, 소시지, 베이컨 등 육가공식품은 숯불에 구워 먹어야 제 맛입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직화구이를 피해야 할 것 같습니다. 특정 발암 물질이 최고 600배까지 검출된 연구 결과가 한국환경과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박흥재 인제대 환경공학과 교수팀이 숯불구이와 프라이팬 구이 등 조리법을 달리해 햄, 소시지, 스팸, 베이컨 등 육가공식품 13종을 구워봤습니다. 육가공식품이 불꽃에 닿을수록 발암물질이자 환경호르몬 의심물질(PAH)이 다량 나온 겁니다.
우선 가열하지 않은 육가공식품 13종 가운데 5종에서 PAH가 검출됐습니다. g당 0.6~7.2ng(나노그램)입니다. 이 5종을 이번에는 프라이팬을 이용해 조리했더니 4종에서 PAH가 나왔습니다. g당 22.1 ng입니다. 일단 열을 가하면 3배 이상 발암물질이 증가하는 겁니다. 그래도 이 정도의 양은 검출한계 이하라서 다행입니다. 마지막으로 불꽃이 직접 닿는 숯불에 육가공식품을 구웠더니 5종 모두에서 PAH가 검출됐는데 검출량이 g당 12.7~367.8ng이었습니다. 탄 음식을 먹으면 발암물질을 섭취할 수 있다는 사실이 다시 확인된 겁니다.
PAH는 100여 종이 있는데, 일반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국제암연구소(IARC)가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벤조피렌입니다. 최근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벤조피렌 등 PAH 4종에 대한 허용기준을 설정했습니다. 국내에선 벤조피렌에 대해서만 허용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잠재적 가해자 탈출하기 ②
노혜경 시인 sisa@sisajournal.com
고재석 시사저널e. 기자 jayko@sisajournal-e.com
조해수 기자 chs900@sisajournal.com
조유빈 기자 you@sisajournal.com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sisa@sisajournal.com
조문희 기자 moonh@sisajournal.com
감명국 기자 kham@sisajournal.com
모종혁 중국 통신원 sisa@sisajournal.com
오종탁 기자 amos@sisajounal.com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 sisa@sisajournal.com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정락인 객원 기자 sisa@sisajournal.com
감명국 기자 kham@sisajournal.com
김원식 국제문제 칼럼니스트 sisa@sisajournal.com
한범석 변호사 sisa@sisajournal.com
하재근 문화 평론가 sisa@sisajournal.com
오종탁 기자 amos@sisajounal.com
전체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