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6·13] ③ 정계개편 태풍의 눈 바른미래당
  • 이민우 기자 (mwlee@sisajournal.com)
  • 승인 2018.06.08 16:39
  • 호수 149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트 6·13’ 체제 준비하는 바른미래·평화·정의당

6·13 지방선거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정치권 시선은 선거 이후로 쏠리고 있다. 지난 두 달 동안 선거 체제를 갖췄던 여야 모두 당권 경쟁 체제로 전환하면서 여의도 권력 지형도는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여의도 정가는 선거 기간 동안 지방 권력의 교체보다 여의도 권력 교체에 더 신경을 쓰는 모습이었다. 여야 모두 공천 과정에서 공공연히 계파 갈등을 연출한 것도 포스트 6·13 체제를 대비한 전투태세였다는 평가다.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 정부 집권 2기 정당 체제가 들어서게 된다. 현재의 지방선거 분위기는 사실상 ‘문풍(文風·문재인 바람)’이 강하게 부는 상황이다. 이 분위기가 선거일까지 이어질 경우, 민주당 당권주자들의 친문계 구애 작전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자유한국당(한국당)은 보수 붕괴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며 당 활로를 결정지어야 할 상황에 몰린다.

 

바른미래당이나 민주평화당(평화당), 정의당 또한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이합집산을 강요받게 된다. 반대의 성적표가 나올 경우, 민주당은 책임론에 휩싸이면서 당권 경쟁은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보수의 상징성을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운명 또한 지방선거 성적표에 달려 있다. 지방선거 이후 여의도 정가의 움직임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해 봤다.​ 

■ ③ 바른미래당 

 

6·13 지방선거 이후 정계개편설의 중심에는 바른미래당이 있다. 안철수계와 유승민계가 결별할 가능성을 배 제할 수 없다. 6월3일 서울 강남역에서 만난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왼쪽)와 유승민 대표 ⓒ연합뉴스


 

포스트 6·13 체제는 단순히 민주당과 한국당의 내부 상황에 한정된 얘기는 아니다. 여의도 정가에선 이미 지방선거 이후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나돌고 있다. 여기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정당은 바른미래당이다. 바른미래당은 지방선거 과정에서 안철수계와 유승민계가 사사건건 대립했다. 특히 서울 노원 병·송파 을 지역의 공천 갈등은 양측 세력의 지방선거 후 모습을 보여주는 예고편과도 같았다.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일부가 통합했지만 화학적 결합을 이뤄내지 못했다는 방증이다. 지방선거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이들의 제3지대 통합 또한 국민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꼴이 된다. 결국 바른정당 출신 의원 중 일부는 한국당으로, 국민의당 출신 의원 일부는 민주당으로 각각 이탈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현실에 가까운 시나리오다.

 

하지만 변수가 많다.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또 한국당의 시나리오에 따라 옛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의 행로는 달라질 수 있다. 우선 한국당에서 홍준표 대표 체제가 지속되거나 조기 전당대회에서 친홍계 인사가 조직력을 발휘할 경우,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의 ‘탈당 후 한국당 입당’ 시나리오는 사실상 폐기된다. 과거 바른정당 1차 탈당 사태로 한국당과 가까운 인사들은 이미 당을 떠났다. 이 경우엔 한국당 내 비홍 세력과 손을 잡고 중도보수 성향의 정당을 새롭게 창당할 수 있다. 이른바 제3지대에서 헤쳐 모일 수 있는 시나리오다.

 

한국당 내 친홍계가 일선에서 후퇴하고 중립적인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은 이럴 경우 한국당 내 쇄신파 의원들과 손잡고 당 권력을 장악할 수 있다. 이는 집권여당을 정계개편의 소용돌이에 끌어들이는 효과를 낳는다. 한국당이 바른미래당 의원 일부를 흡수한다면 민주당은 제1당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 민주당 입장에선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 혹은 평화당 의원들의 영입을 강요하는 꼴이 된다. 이 또한 바른미래당이 지방선거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6월7일 서울 용산역에서 사전투표 참여 캠페인을 하고 있는 조배숙 평화당 대표 ⓒ시사저널 최준필


  

■ ④ ​선택 기로에 선 ‘평화와 정의’


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 교섭단체인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도 주목된다. 평화당에선 벌써부터 민주당과의 합당 내지 연대론이 제기되고 있다. 박지원 평화당 의원은 6월4일 “보수야당이 살기 위해서 단일화 통합의 길로 간다면 진보개혁 세력도 그대로 있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까진 아니더라도 최소한 연정(聯政)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이는 평화당의 지지기반이었던 호남지역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을 스스로 시인한 셈이다. 

 

6월1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지원유세에 나선 심상정 정의당 의원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