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독에서 걸작 건진 천재들
  • 강철주 편집위원 (kangc@sisapress.com)
  • 승인 2002.11.1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알렉상드르 라크루아 지음 <알코올과 예술>
"글줄이나 쓴답시고 술이나 퍼마시고….” 예술가에 대한 낭만적 존경과 현실적 모멸감은 흔히들 술에서 ‘어긋나게’ 만난다. 술은 그들에게 때로 창조적 영감의 원천이지만, 때로는 인간 말종의 가장 확실한 표지가 되기도 한다. 예술의 신화를 믿는 이들에게 술은 신의 축복이지만, 건실한 생할인들에게 그것은 심각한 ‘인간적’ 결격 사유의 한 징표가 된다. 같은 술 마시고 비슷한 사고 치더라도 대접이 다르다.






프랑스의 젊은 작가 알렉상드르 라크루아의 <예술가와 알코올>(백선희 옮김, 마음산책 펴냄)은 술 마시는 예술가들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은 ‘도취와 몰두’의 취기가 문학과 음악과 미술에 창작의 묘약으로 작용했는지, 아니면 예술가의 재능을 하릴없이 탕진하는 파멸의 독약으로 작용했는지를, 이름만 대면 알 수 있는 유명 작가의 풍부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술의 도움을 받아 재즈 연주자처럼 즉흥적 글쓰기를 추구했던 잭 케루악은 글을 쓰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술에 취해 책상에 앉을 것을 권고했다. 만취한 다음날 그림을 그리는 습관을 가졌던 프랜시스 베이컨은 보름 동안 만취와 숙취를 거듭한 끝에 걸작을 완성했다. 마르그리트 뒤라스는 하루에 포도주 6ℓ를 마셔 가며 글을 쓰기도 했다. 술을 마시지 않을 때만 잠시 짬을 내어 글을 썼던 앙투안 블롱댕은 술이 좋아 생의 마지막 20년을 절필했다.



이들이 술을 마시는 이유는 제각각이었지만 ‘글을 쓰기 위해 유기체의 기계 장치를 고장내야 하고, 자아를 살짝 흔들어놓아야 하며, 균열을 키우고 그 흔적을 쫓아야 하는’ 예술가의 운명에 술의 개입은 필연적이었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그들에게 술은 진부한 일상을 떠나 ‘인공 낙원’으로 인도하는 지름길이 된다. 술에 절어 자기 파멸의 길을 걸었던 알려지지 않은 천재들에게는 ‘인공 지옥’이지만.



술독에 빠진 예술가에 대한 낭만적 환상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독자라면 제법 진진한 재미를 느낄 수 있지만, 예술이 재능이 아니라 노동의 산물이라고 믿는 이들에게는 불편하게 읽힐 수도 있다. 그러나, 보들레르의 시구처럼 ‘가슴을 찢는 지독한 갈증’은 술이라야 비로소 해소할 수 있다고 믿는 이는 아마도 생각이 다르지 싶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