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日 조선산업 新삼국지] ①‘메이드 인 차이나‘의 도약...‘조선강국’으로 우뚝
  • 박성의 기자 (sincerity@sisabiz.com)
  • 승인 2015.11.23 17: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국무원 “2017년까지 조선시장 불황 적극 타개할 것”

세계를 호령하던 국내 ‘조선 빅3’가 주춤하고 있다. 그사이 일본 조선사는 엔저에 힘입어 수주경쟁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정부 지원책을 등에 업고 한국을 바짝 뒤쫓고 있다. 세계 수위를 다투던 국내 조선산업이 경쟁력을 잃고 멈춰서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국내 조선해양산업이 정박을 멈추고 다시 질주하기 위해서는 ‘지피지기(知彼知己)’ 자세에 달려있다. 중국 정부가 조선소을 키우는 방법, 일본의 체계적인 금융 지원정책이 그것이다. 이에 중국과 일본의 조선산업 현황과 정책 분석을 기초로 한국 조선업이 직면한 위기와 과제를 분석·제시한다. [편집자주]

과거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는 저품질의 대명사였다. 값은 저렴했지만 질은 떨어졌고, 중국산을 향한 소비자들의 시선은 차가웠다.

시간은 흘렀다. 21세기 중국은 세계 경제의 ‘린치핀(linchpin: 수레바퀴의 중심축)’으로 거듭났다. 거대한 내수시장과 인력은 중국 경제위상을 빠르게 키워냈다. 성장한 기술력은 아시아를 넘어 세계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조선·해양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아시아 맹주로 세계 조선산업을 호령하던 한국이 주춤한 사이, 중국이 틈새를 매섭게 공략하고 있다. 업계는 중국 특유의 정부주도 산업개발계획이 빛을 발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 조선산업에서 샤오미의 ‘대륙의 실수’ 신화 현실화  

중국 정부는 2006년 조선업을 핵심 육성분야로 분류했다. 그 뒤 2006년 ‘중장기 발전계획’, 2011년 ‘12.5 규획’ 등을 발표하며 조선해양산업을 지원해왔다.

그 중 12.5 규획은 중국 조선정책의 핵심으로 꼽힌다. 정책목표는 뚜렷하다. 중국 조선업 입지를 2010년 주요 조선국에서 2012년 조선대국, 2015년에는 조선강국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양플랜트 기술발전에 자금을 지원하고, 기자재 국산화율을 80% 이상 늘리는 데 공을 들였다. 국내외 조선 매출실적을 2배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포부였다.

효과는 있었다. 정책 시행 후 수주량과 건조량이 실제 늘었고, LNG선 등 고부가 가치 선박 수주도 눈에 띄었다.

물론 어려움도 있었다.2011년 이후 불어 닥친 조선불황은 중국 조선경기도 얼렸다.  건조량은 2011년 2090만 CGT를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1170만 CGT로 43.8% 감소했다.

그럼에도 중국 조선은 세계 조선업 불황을 계기로 점유율을 무서운기세로 확대해 나가며 기존 조선강국들에게 두려움을 안겨주고 있다.

지난달 20일 영국 조선해양 조사기관 클락슨(Clarkson)에 따르면 국가별 수주잔량 부문에서 중국이 4040만CGT(2161척)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3210만CGT)과 일본(2120만CGT)이 그 뒤를 이었다.

◇ 중국 정부의 조선 키우기..인수합병부터 자금지원까지

최근 조선업이 휘청이자 2013년 중국 국무원은 조선 지원정책을 새로 수립한다. 발표된 계획은 ▲구조조정 가속화 ▲품질 제고 ▲해양보호 능력 제고 ▲생산과잉 문제 해소 ▲해양개발 설비 개선 등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2017년까지 벌커와 탱커, 컨테이너선 등 3대 주요선종의 품질을 끌어올리고, 국산 기자재 설비 비율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한 생산 과잉으로 인한 건조 지연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맹목적 생산량 증대를 규제하기로 결정했다. 생산량이 뒤떨어지는 소규모 조선소들은 대형 조선소로 통합시켜 산업 집중도 강화에 나선다.

이 밖에 중국정부는 조선소의 노후선박 해체 및 신조선 대체 발주를 지원하고 있다. 노후선박을 친환경 고효율 선박으로 교체 시 1500위안/GT를 지원해 준다.

홍성인 KIET 연구위원은 “중국 정부가 나서 조선사의 해운부문 효율화를 지원하고, 조선해양은 물론 기자재 부문 일감까지 창출하고 있다”며 “중국은 정부가 나서 조선소의 디지털 설계 시스템 보급률, 제조 공정 IT화 비율 등을 평가한다. 이를 리스트화해 활발한 조선소 인수합병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