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수명에 대한 4인(人) 4색(色)
  • 노진섭 기자 (no@sisajournal.com)
  • 승인 2018.01.02 10:26
  • 호수 147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Pixabay


 

“환경오염 등으로 수명 줄 수도”

 

조수현 중앙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절대 한계 수명은 125세다. 앞으로는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질병을 극복하고, 텔로미어(염색체 끝부분으로 세포 분열에 관여)를 안정시켜 노화를 늦추거나, 인공지능(AI)이 접목된 의료기술 발달로 맞춤 질병 치료가 이뤄질 것이다. 그러나 스트레스 증가, 운동 부족, 영양 불균형의 고열량 식단에 의한 비만, 환경오염 등으로 오히려 인간 수명이 줄 수도 있다. 환경오염에 의해 늘어나는 불임과 난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대수명 120세”

 

이은주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동물의 수명은 성장기의 약 7배라는 가설이 있다. 이를 인간에 적용하면 인간의 성장기는 대개 17년이고 여기에 7배인 120살이 수명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 실제로 최장수 기록을 가진 프랑스의 칼망이라는 할머니는 122세까지 살았고, 국내에 110세 이상 노인이 65명이라는 보고도 있다. 이런 사실을 종합하면 대략 120세가 최대 수명일 것으로 추측된다.”

 

 

“영생 인간 탄생에 대한 기대”

 

이은숙 국립암센터 원장

“미래에 수명은 당연히 늘어난다. 얼마까지 연장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어쩌면 죽지 않는 인간이 나올 수도 있다. 최근 유발 하라리의 책 《호모 데우스》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죽는다는 정의가 틀린 세상이 다가오고 있다.”

 

 

“수명 늘겠지만 만성질환 예방이 관건”

 

조민우 서울아산병원 예방의학과 교수

“2017년 의학저널 란셋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미래에 수명이 더 늘어날 가능성은 매우 크다. 영국 왕실 칼리지 연구팀은 ‘2030년 한국 여성의 기대여명이 가장 길 것(90세 이상)”이라고 예측했다. 프랑스, 스페인, 일본이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남성도 가장 오래 살 것(85세에 가까워짐)으로 기대했다. 전제 조건이 있다. 유엔이 주요 비감염성 만성질환으로 꼽은 암,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을 줄이기 위한 예방과 치료가 동반돼야 한다. 물론 금연, 절주, 운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정부와 지역사회의 활발한 노력도 필요하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