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가해자, 폭력성 치료 가능하다”
  •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 승인 2018.07.13 14:2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병원 '공감 치료'로 행동·정서·뇌기능 개선 확인

 

학교 폭력 청소년은 대부분 ‘폭력은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약한 사람은 폭력을 당하는 이유가 있다’ ‘상대방이 나를 공격하기 전에 내가 먼저 공격해야 한다’는 등의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다. 피해자에 대한 고통을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다.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2014년부터 피해자의 고통을 이해하도록 훈련하는 이른바 '공감 치료 프로그램(청소년 인재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팀은 전국 400여 명의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에 이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이 중 24명의 중고등 학생에게는 매주 2회씩 8주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시행 전후 임상 및 신경심리검사와 뇌영상 촬영(functional MRI)을 진행했다. 

 

서울 남대문 경찰서 옥상에 설치된 '학교폭력 신고전화 117'을 강조한 조형물 (연합뉴스)​

 

그 결과, 부모평가척도(부모가 자녀를 평가)에서 학교폭력과 관련된 4개 항목(비행, 공격성, 내재화(불안·​우울 등이 내면에 잠재화), 외현화(과잉 충동 행동 등을 밖으로 표출))의 점수가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결과는 비행 성향이 강한 청소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비행 행동을 많이 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모든 항목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개선됐다.

 

프로그램은 동시에 뇌 기능 개선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뇌영상 검사로 청소년들의 전두엽과 두정엽 신경회로가 활성화된 것이 확인됐다. 전두엽은 뇌에서 충동 및 공격성을 조절하고 공감 능력을 담당하는 부위다. 두정엽은 상대방의 표정과 관련된 감정을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두정엽의 기능이 떨어지면 상대방의 표정을 나쁜 쪽으로 해석하게 된다. 이 두 부위의 신경회로가 활성화된 것은 충동 및 공격성은 줄고,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은 높아졌다는 말이다. 

 

김붕년 교수는 “이번 연구로 공감과 공격성, 충동성 조절과 관련된 뇌기능이 동시에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며 “분노조절장애, 충동 공격성 문제 등으로 고통받는 소아·청소년과 성인에게 치료 대안을 제시했으며, 학교폭력 가해 학생에 대한 실질적 해결책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