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유의 기피시설을 왜 우리가?”…고양시 나섰다
  • 경기 고양 = 박승봉 기자 (sisa214@sisajournal.com)
  • 승인 2019.04.05 13:5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양시, ‘서울 소유 기피시설 문제 해결’ 공동협의체 구성, 서울시에 제안
“제3의 중재자 역할은 경기도에 제안할 계획”
이재준 고양시장 ⓒ 고양시
이재준 고양시장 ⓒ 고양시

고양시(시장 이재준)가 지난 1일 관내에 있는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에 대해 공동협의체구성을 서울시에 제안해 해법마련에 나섰다.

고양시 기획담당관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고양시 내 기피시설은 벽제승화원, 난지물재생센터,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등 5개소와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등 양 시 경계에 위치한 시설까지 합치면 무려 7곳이나 된다. 이러한 기피시설로 발생하는 지역 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한 공동협의체는 명목상 합의를 넘어 양 시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는 실무협의체라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원만철 고양시 기획담당관 팀장은 벽제승화원은 50여 년 가까이 운영 중이고, 다른 시설도 대부분 30~40년 이상을 운영해 오면서 갈등을 야기해 왔다. 특히 이 시설들은 고양시 덕양구에 집중돼 있어 지역주민의 피해와 함께 지역 균형발전을 가로막는 장벽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고양시와 서울시는 2012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체결했으며, 그 결과 기피시설로 인한 주민 민원의 70% 가량을 해결했거나 해결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재준 고양시장은 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 벽제승화원 공원화와 같은 굵직한 합의는 정책적 결정이 뒷받침돼야 하는 사안들로, 담당부서 간 협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용은 서울시가 하면서 서울시 행정구역이 아닌 고양시에 위치한 기피시설의 경우 서울시 내 시설에 비해 투자가 전무하다는 지역 주민들의 원성이 높다. 서울시에 소재한 물재생센터의 경우 2010년부터 수천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시설 현대화를 추진해 온 반면, 정작 규모가 가장 크며 고양시에 입지하고 있는 난지물재생센터의 시설 개선사업은 후순위로 밀려 있다.

이러한 불합리를 해소하고자 이번에 고양시가 전격 제안한 공동협의체는, 기존 실무부서 차원에서 협의하고 상부에 보고하는 상향식의사결정을 탈피해 제1부시장(2) 급이 대표로 굵직한 정책적 사안을 결정하는 하향식 구조의 정책협의체. 타협점 없는 갑론을박을 넘어 원만한 논의 과정을 통해 양 시가 상생할 수 있는 창조적 대안을 조기에 발굴하고 이를 정책화하자는 것이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기피시설 갈등 해소를 위해 양 시가 오랫동안 노력해 왔으나 아직까지 주민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소모적 대립을 넘어 상생으로 나아가기 위한 서울시의 전향적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양시는 여기에 상호 중재자 역할을 할 제3의 기관으로 경기도가 참여할 것을 제안했다. 앞으로 이 합의체가 구성되면 도시 간 갈등해결의 선제적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