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으로 본 강원도 산불 피해
  •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 승인 2019.05.10 17:00
  • 호수 154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도 사람 살아요. 관심 좀 가져주세요. 고성 속초 산불 재난급입니다.”

지난 4월4일 밤 10시45분, 한 네티즌이 트위터에 올린 글은 3만 번 넘게 리트윗(공유)되며 급속도로 퍼져 나갔다. 그날 밤 10시53분, KBS가 첫 산불 특보를 전했다. 재난주관 국가방송사가 SNS보다 한발 늦은 셈이다. 트위터에선 “서울만 나라냐”란 호소의 글이 올라왔다. 산불 피해자는 강원 주민만이 아니다. 환경적·경제적·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전 국민이 피해자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산불이 남긴 피해는 지금도 퍼져 나가고 있다. 

■ 환경적 영향

산불 발생 다음 날인 4월5일 아침, 강원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한때 119㎍/㎥까지 치솟았다. ‘매우 나쁨’(76㎍/㎥ 이상)을 넘어섰다. 그 원인에 대해 당국은 “화재로 인한 농연(濃煙·짙은 연기)이 퍼져 대기질이 급격히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8일 발생한 사상 최악의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은 그 여파가 4800km 떨어진 뉴욕에까지 미쳤다고 한다. 발생한 지 2주 만이다. 가디언은 11월22일 “미세먼지로 인해 흔치 않은 안개구름이 뉴욕 고층빌딩을 덮었다”며 산불의 파급력을 전했다. 그에 비하면 고성·속초와 서울 간 거리는 150km에 불과하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은 “연기가 높은 고도까지 올라가면 미국에서 유럽까지, 러시아에서 캐나다까지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경제적 영향

4월 산불로 폐허가 된 강원 산림은 총 856만6800평으로 집계됐다. 여의도(87만7200평) 면적의 약 9.7배다. 이에 따라 벌꿀·산나물·표고버섯 등 임산물의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하게 됐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초 임산물 생산량 감소와 생산비 증가가 겹쳐 농가 소득이 쪼그라들었다. 더군다나 생산량 변동은 소비자 가격을 흔드는 요인이 된다. 또 정부가 집계한 공공시설(상하수도·군사·학교 등) 산불 피해액은 총 988억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국비와 지방비 등 1608억원의 세금이 복구비로 책정됐다.  

■ 사회적 영향

정쟁(政爭)이 낳은 사회적 비용도 있다. 국회에서 여야는 산불 복구비용 마련 방안을 두고 4월8일 임시국회 첫날부터 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그 비용을 올해 편성된 예비비(1조8000억원)로 우선 쓰고, 추경으로 보충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추경에 반대했다. 자칫 본래 목적에서 벗어난 ‘선심용 추경’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추경안은 4월 내내 패스트트랙 공방에 갇혀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