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화재’ 조사결과 발표…제조사 책임 못밝혀
  •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 승인 2019.06.11 16: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 합동 조사위 “배터리 결함 있지만 직접적 원인 아냐”
불량 배터리 만든 제조사측 “개선 조치해 문제없는 상황” 해명

지난 약 2년간 전국에서 잇따라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에 대해 정부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그동안 원인으로 지목됐던 제조사의 책임은 직접적으로 밝혀내지 못했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 김정훈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장 등이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운영환경 관리 미흡' 등 4가지 요인이 화재사고의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 연합뉴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 김정훈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장 등이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운영환경 관리 미흡' 등 4가지 요인이 화재사고의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11일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5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여기에 따르면, 사고 원인은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용관리 부실 △설치 부주의 △통합관리체계 부족 등 4가지로 꼽혔다. ESS는 전력을 저장해뒀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다.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구축을 위한 핵심 설비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2017년 8월 전북 고창 ESS에서 불이 난 이후 계속 화재사고가 보고됐다. 최근인 올 5월 전북 장수에서 터진 사고까지 합하면 총 23건이다. 결국 정부는 작년 말 전국 ESS 사업장(1490곳)의 35%인 522곳의 가동을 중단시켰다. 제조사가 자체 중단 조치한 사업장까지 포함하면 절반이 넘는 765곳이다. 

잇단 화재로 인해 기술력을 자랑하던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의 신뢰에 금이 갔다. 이와 관련해 조사위는 배터리 생산과정의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셀(cell) 해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한 제조사가 만든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불량 등 결함이 확인됐다. 


‘불량 셀’로 180번 이상 실험했지만 문제 없어

조사위는 이러한 결함을 일부러 베껴 만든 ‘불량 셀’로 180번 넘게 실험을 했다. 이 과정에서 발화로 이어질 수 있는 셀 내부의 단락(합선 등으로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즉 제조상 결함이 화재 원인이란 가설은 입증하지 못한 셈이다. 단 정부는 결함이 발견된 셀을 만든 제조사가 어딘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나중에 LG화학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LG화학 관계자는 시사저널에 입장문을 보내 “공정 및 설계 등을 강화해 모두 개선 조치했으며 현재는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또 “개선 사항에 대해선 조사위에도 공유했고 잠재불량군에 대해서도 선별 교체를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일단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제조사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ESS 산업이 화재사태로 위축된 성장활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단기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수요 창출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라고 했다. 또 안전성 제고를 위해 ‘ESS 안전조치 이행 점검팀'을 구성, 사업장 별로 점검할 계획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