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제비뽑기’로 국민 대표 뽑자?
  • 이문재 기자 (moon@sisapress.com)
  • 승인 2004.03.23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포츠 해설가 중에 축구 해설가가 가장 힘들다고 합니다. 생방송 중에 자칫 한마디라도 실수했다가는 사방에서 실시간으로 ‘논평’이 폭주하기 때문입니다. 시청자가 모두 축구 전문가라면, 한 순간도 긴장을 늦출 수 없습니다.

사상 초유의 탄핵 정국을 통과하는 정치부 기자나 시사 칼럼 필자들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이번에는 평소 정치에 관심을 보이지 않던 여성들까지 나섰으니, 전국민이 정치 평론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군부 독재의 좁고 긴 터널을 지나온 30~40대들이 모인 술자리는 정치학 세미나장을 방불케 합니다. 탄핵 정국이 총선과 이어져 더 그렇겠지만 ‘친구’들은 선거 제도부터 씹기 시작합니다.

한 친구가 일인일표제에 딴죽을 겁니다.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염려하는 나와 이민 갈 생각만하는 네가 똑같이 한 표를 행사하다니 이게 말이 되느냐”라며 핏대를 세웁니다. 어떤 친구는 납세액과 투표권이 비례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입니다. 세금 천만원을 내는 사람은 만원 내는 사람보다 몇 표 더 찍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친구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칩니다. “가장 민주적인 선거는 제비뽑기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대표를 선거로 뽑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비판했듯이 선거를 하면 시민의 대표가 아니라 귀족, 즉 유명하거나 돈이 많은 사람 가운데 하나가 뽑힌다는 것입니다. 그 친구는 실제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비뽑기로 시민의 대표를 정했다며 열변을 토합니다.

제비뽑기론은 사실 더글러스 러미스라는 생태론자의 주장입니다. 그는 무력감을 느끼면 민주주의가 아니라며 대의 정치와 선거제도를 신랄하게 비판한 바 있습니다. 탄핵 정국이 투표율을 얼마나 끌어올릴지 모르지만, 이번 총선 이후에는 제발 민주주의에 대해 무기력증을 느끼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