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醫大에서도 조선인 생체실험
  •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 남문희 기자 ()
  • 승인 1992.08.13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鄭正摸씨 “전범재판 증언·조선인碑가 증거” 주장


 


 일제 때 만주의 731부대에서만 행해진 것으로 알려진 생체실험이 일본 국내 의과대들에서도 광범위하게 자행되었다는 주장이 있어 관심을 끈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현재 일본 지바현 카시와시에 사는 鄭正摸씨. 그는 “만주의 731부대가 주로 중국인을 상대로 생체실험을 한데 비해, 일본 국내에서는 제국대들의 의학부가 중심이 돼 조선인들을 실험대상으로 썼다”라고 주장한다. 이와 함께 가나가와대의 쓰네이시 게이이치 교수는“당시 일본 의학계를 주도하던 동경제국대와 경도제국대 의학부 교수들이 731부대 배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들은 전후에도 생체실험에서 얻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본 의학계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행세 해왔다”고 주장한다. 이시이 시로 중장 등 몇몇 광기 어린 군부세력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만 알려진 생체실험이 일본 국내 의과대에서도 광범위하게 행해졌고, 의학계의 중심적인 인물들이 이 실험에 깊이 관계돼 있었다는 것은 매우 충격적인 일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최대의 엽기적인 사건으로 알려진 이 문제는 당시 일본 의학계의 구조적인 메커니즘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돼야 할 것이다. <편집자>

 

 

 정정모씨(74)가 일본 국내에서도 생체실험이 행해졌다는 사실에 대해 확신을 갖게 된 것은, 일제 때 지하운동을 하다 일본 경찰에 의해 의문의 죽음을 당한 동지들의 유골이 어디로 갔는지 추적하면서부터였다.

 1940년 23세의 나이에 고향인 경상남도 고성에서 강제징용돼 일본에 끌려온 그는 끌려온 지 한달 만에 탈출하여 조선 청년들로 결성된 지하 운동조직에 가담했다. 41년 지하공작차 동경을 출발해 북해도까지 올라갔던 정씨와 그의 동지들(성씨만 기억나는 이씨와 그의 형 李原吉 · 蘇在運씨 등)은 동경 본부로부터 연락이 끊기자 불안을 느껴 동경을 향해 내려오다 모리오카에서 경찰에 붙잡혔다. 이때가 1944년이었다.

 당시 정씨 등이 주로 했던 공작은 일본의 군수산업체나 탄광 등에 들어가 강제로 끌려온 조선 청년들을 구출해내고, 파업을 조직하는 일 등이었다.

 

 “당신 선배들이 생체실험을 당한 것 같다”

 약 1주일 동안 모리오카경찰서에서 모진 고문을 받은 후에 정씨와 그의 동료인 이씨는 풀려나왔지만 선배 두 사람은 풀려나오지 못했다. 선배들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것은 풀려난 지 이틀이 지난 어느날 “경찰서에서 소식을 전해주라고 해서 찾아왔다”는 두사람의 일본인으로부터였다.

 이들은 선배들의 사망소식과 함께 충격적인 이야기를 전했다. “두 사람이 의과대에 끌려가 생체실험을 당한 듯하다”는 것이었다. 사실 생체실험에 대한 이야기는 당시 일본 내에서 지하운동을 하던 조선 사람들 사이에서는 파다하게 소문이 나 있었다고 한다. “조선 사람들이 체포돼 형무소에 끌려가면 실험대상이 된다”는 것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정씨는 이런 얘기를 듣고 긴가민가했었는데, 두 일본인의 말은 그의 가슴 속에 이문제에 대한 의혹을 깊게 심어놓는 계기가 됐다.

 선배들이 생체실험의 희생자가 됐을 거라는 생각이 좀도 뚜렷해진 것은 일본 패망 후인 1948년 요코하마에서 열린 전범재판 현장에서였다. 당시 조선 사람들이 운영한 해방신문사 직원이던 그는 틈만 나면 재판정에 나가 방청을 했다. 그때 마침 구주대 생체해부사건에 대한 공판이 열렸다. 구주대사건이란 1945년 5월 구주지방에 불시착한 미국인 B29 전투기 조종사 8명을 구주대에서 생체 해부해 살해한 사건이다. 당시 이 사건은 미군이 진주한 후 본격적인 수사가 이루어져 관계자 전원이 교수형과 종신형 등 중형을 선고받았다.

 그 재판정에는 소련인 검사가 배석했는데 그가 미국인 검사에게 한 진술이 인상에 깊이 남았다. “일본 국내에서 미국인뿐 아니라 조선 사람들도 생체해부의 대상이 되어 많은 사람이 죽었다는 얘기가 있다. 이 문제도 같이 조사하자”는 제의였다. 그러나 이 제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미국인들은 조선 사람의 인권문제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구주대사건도 미국인이 해부대상이 됐기 때문이지 조선 사람이 당했다면 세상에 알려지지도 않았을 것이다”라고 정씨는 말한다.

 

 “여기에 鮮人과 동물의 뼈가 묻혀 있다”

 정씨가 선배들의 죽음을 본격적으로 조사하게 된 것은 1988년경 구주 아사히 방송국에서 정씨의 삶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할 때였다. 그때 그는 방송국 기자들과 함께 선배들이 붙잡혀가 사망한 것으로 돼 있는 모리오카검찰청으로 찾아갔다. 선배들의 유골을 내놓으라는 정씨의 거센 항의에 검찰청 당국자들은 일제 때 미군의 공습으로 서류가 다 타버렸다고 발뺌을 하다 결국 보은사라는 절을 가르쳐줬다. 보은사 주지가 알고 있을 거라는 얘기였다.

 정씨로부터 자초지종을 들은 주지는 “자세한 서류는 화재사건으로 타버려 알 수 없으나 절 뒤에 조선 사람들의 碑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확인해주었다. 그의 말대로 절 뒤 숲속 한 구석에 언뜻 보아도 버려진 것으로 보이는 비석들이 쭉 늘어서 있었다. 주지의 설명에 따르면 원래는 약 6백여개 정도 있었는데 절 뒤쪽으로 도로를 내면서 반 정도는 땅에 묻혀 지금은 3백여개 정도밖에 없다고 한다. 그는 일본인들의 것은 없고 전부 조선사람들의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고자 없는 비석들이 의과대에서 실험을 당했던 사람들의 것이라는 사실을 주지의 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주지는 무연고자비가 있는 일대의 땅은 모리오카 시내에 있는 이와테(岩手)대 소유로, 의과대에서 실험실습한 동물과 사람의 뼈를 묻는 곳이라고 말했다(나중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이와테의과대는 1928년 의과전문학교로 출발해 48년 의과대로 승격했다. 보은사에 실험한 뼈를 갖다 묻기 시작한 것은 1932년경부터였다고 한다). 정씨가 갔을 당시 그곳에는 나무 팻말이 하나 있었는데 “여기에 鮮人(조선인)과 동물의 뼈가 묻혀 있다”라고 씌여져 있었다고 한다(이 나무 팻말은 나중에 없어졌다).

 결국 그의 선배들이 모리오카경찰서에서 이와테의과대로 보내졌다는 점이 분명해진 것이다. 그들이 산 채로 보내져 실험과정에서 사망했는지, 아니면 고문을 받아 사망한 후 해부용으로 보내졌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정씨는 전자의 경우였을 거라고 주장한다. 그의 선배들은 체력이 상당히 좋은 편이었기 때문에 웬만한 고문으로는 쉽게 죽지 않았으리라는 판단에서다. 정씨의 선배들이 이런 경로로 이곳에 와 묻혀 있다면, 그들과 같이 묻혀 있는 조선인(?) 6백여명의 운명도 비슷했으리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시사저널》 취재진은 정씨와 함께 보은사를 찾아가 절 뒤에 있는 무연고자비를 확인(6월27일 오후 3시경)했다.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이와테의과대’라고 씌여진 나무 팻말이 새로 세워져 있었다. 그리고 나무 팻말 왼쪽에는 커다란 ‘동물위령탑’이 있었다. 동물위령탑 뒤쪽 숲속에 한눈에도 무연고자들의 것으로 보이는 비석들이 쭉 늘어서 있었다.

 

 조선인 비석 빼돌려…증거 인멸 의혹

 비석을 둘러보던 정씨가 갑자기 “몇 개가 바꿔치기됐다”고 소리쳤다. 그가 4년 전 왔을때는 분명히 이 모라는 조선여성의 것으로 보이는 비석이 있었는데 그 비석이 없어지고 엉뚱한 비석이 대신 세워져 있다는 것이었다(이 모라는 여성의 비에는 오사카형무소에서 모리오카형무소로 이송돼왔다는 내용도 씌어져 있었다고 한다. 만약 그 사람이 형무소에서 사망했다면 일본일들이 여기에 비석까지지 세웠겠느냐고 정씨는 말했다). 바꿔치기된 것은 그것만의 아니었다. 여기저기 오래된 비석 사이에 새 비석들이 세워져 있는 것이 보였다.

 절의 주지에게 이 사실을 물었다. 그는 처음에는 “종교가 다르거나 가족이 있는 사람들이 찾아갔다”고 말했다. 그러다 “무연고자의 비석을 가족이 찾아갔다는 것은 이상하다”고 되묻자 “그 말이 맞는 것 같다. 잘 모르겠다”고 뒤로 물러났다. 이곳의 비석들이 문제가 되자 누군가가 그 가운데 글씨를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는 비석들은 빼돌렸음이 분명했다.

 “비석이라도 세워준 걸 보면 그래도 이와테대는 양심적인 편이다. 다른 대학의 경우에는 실험을 하고 전부 파묻어버려 증거조차 찾아내기 힘들다”고 정씨는 말했다.

 그가 그동안 조사한 바에 따르면 생체실험을 가장 많이 한 곳은 동경제국대이다. 이대학은 육군과 손을 잡고 실험을 했다고 한다. 다음이 경도제국대, 그 다음이 구주제국대이다. 정씨는 “동경제국대와 경도제국대에서는 주로 조선 사람이 실험대상이었는데, 구주대에서는 조선 사람뿐 아니라 중국 · 폴란드 · 미국 사람이 실험대상에 섞여 있었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은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하지만 상당히 구체적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그가 지목하는 대학 중에는 이미 생체실험을 자행한 것으로 판명된 학교도 있다. 동경대가 학교 부설 전염병연구소에서 생체실험을 했다는 사실은, 전후 몇몇 젊은 의학자들이 양심에 가책을 느껴 자살한 사건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바 있다. 위에서 언급한 구주대의 생체실험 관계자는 미군 조종사에 대한 실험이 문제돼 전범재판에 회부됐다.

 이런 사례들에서 주목할 것은 생체실험을 둘러싼 군과 대학의 협력관계이다. 동경대 전염병연구소는 동경의 육군군의학교와 연계돼 있었고, 구주대는 구주지역의 서부방위군과 연계돼 있었다는 점이 나중에 열린 재판에서 분명해졌다.

 

 식염수 · 말의 피로 수혈 가능한가 실험

 생체실험에 대한 군의 요구는 당시 구주대의 실험내용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실험에서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위급 상황에서의 수혈에 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혈액 대신 식염수나 기타 동물의 피(구체적으로는 말의 피)등을 이용해 수혈이 가능한가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수혈 문제는 전쟁을 치러야 하는 일본군으로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였다. 이 밖에도 설사병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 페스트균이나 임질균을 사용한 세균전에 대한 연구, 그리고 말 그대로의 생체해부 등 여러가지가 관심의 대상이었다.

 한편 의과대측으로서는 전시 아래에서 극도로 악화된 의학연구 환경에 대한 일종의 탈출 방편이 생체실험이었다. 실험실습 기자재의 부족은 말할 것도 없고 실험용 모르모트의 공급마저 중단된 상황에서 살아 있는 사람을 모르모트 대용으로 사용한다는 발상이 나온 것이다.

 또 한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당시 전쟁포로나 정치범들이 일본사회에서 처한 처지이다. 포로나 정치범들이 일본 사회에서 처한 처지이다. 포로나 정치범 모두 일본 제국주의 체제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지만 정상적인 재판절차를 밟을 경우 범죄 입증이 매우 어렵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당시 일본 대본영에서는 “전쟁포로 중 정보가치가 있는 자만 동경으로 올려보내고 나머지는 적당히 처리하라”는 지침을 일선 사령부에 시달한 바 있다(가미사카 후유코 《생체해부》 1982년판). 또 일본 문부성에서는 “모르모트가 부족할 경우 포로를 그 대용품으로 써도 좋다”는 내용의 지침을 각 의과대에 내려보냈다는 소문도 있었다. (<마이니치신문> 서부본사 《격동 20년》).

 

 의과대 · 군 · 경찰 공조체제 이뤄 실험

 이런 상황이 포로들에게만 국한됐을 리 없다. 포로들 만큼이나 귀찮은 존재가 각 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정치범들이다. 이런 의미에서 구주대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후쿠오카 형무소를 눈여겨봐야 한다. 이곳에는 당시 조선인 중국인 미국인 폴란드인 등이 수용돼 있었다. 민족시인 윤동주가 수감돼 있던 곳도 바로 이 후쿠오카 형무소인데, 그가 사망한 직접적인 원인도 생체실험을 당했기 때문일 것이라는 의혹이 뒤따르고 있다(오른쪽 상자기사 참조).

 후쿠오카형무소가 문제되는 까닭은 그곳이 구주대와 서부방위군을 연결하는 삼각점의 한 꼭지점이기 때문이다. 체포된 포로들이 서부 방위군에서 구주대에 보내져 생체해부된 것과 마찬가지로,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정치범들도 구주대나 서부방위군의 실험대상이 됐을 것이라는 의혹이 줄곧 있어왔다.

 정씨가 주장하듯 구주대로 상징되는 의과대와 서부방위군으로 상징되는 군, 그리고 후쿠오카형무소로 상징되는 경찰의 관계는 하나의 공조체제를 이뤄 일본 내에서 행해진 생체실험의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정씨의 이런 주장에 대해 당시 일본의 사정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사람들은 상당히 수긍하는 모습을 보인다. ‘군의학교 터에서 발견된 인골의 진상규명을 위한 회’ 사무국장 와타나베 노부오씨는 “당시 일본에는 인권감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충분히 그럴 가능성이 있다. 무엇보다 강제징용으로 끌려온 사람들 중 행방불명자가 많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라고 말한다.

 윤동주 시인의 죽음을 추적해온 재일동포 작가 김찬정씨는 “특히 형무소에 수감된 조선사람들처럼 연고자들과 격리된 사람이 생체실험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