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지 말고 다 먹어치우라는 얘기?
  • 이은지 (lej81@sisapress.com)
  • 승인 2009.06.16 18:5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길가에 방치된 음식물 쓰레기. ⓒ연합뉴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고충은 해본 사람만이 안다. 여름철, 혼자 사는 사람들의 고충은 한층 더 심하다.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다 채울 때까지 두자니 악취가 진동하고, 반쯤 채우고 버리자니 돈이 아깝다. 야밤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으로 쓰레기를 가지고 가는 일 또한 번거롭기 그지없다. 개인 차원의 불편함이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지난 6월4일부터 해양배출업체들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거부하며 집단 파업에 들어갔다. 이번 주를 넘기면 여기저기서 음식물 쓰레기가 넘쳐나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지 모른다. 대구시를 비롯해 안동시, 인천시에서 이런 조짐이 나타나 해당 지역 언론에서 대책을 요구하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구체적인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정부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수분 함량(함수율)을 92%에서 93%로 올리기로 결정하면서이다. 해양배출업체들은 함수율을 1% 포인트 올리기 위해서 추가로 5억~10억원 정도의 비용이 들지만 이를 위해 투자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오는 2013년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되기 때문에 사업성이 없다는 것이 이유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지난 2월부터 노원구 일대에 시범운영하고 있는 ‘주방용 오물분쇄기’ 방식은 하나의 대안으로 볼 수 있다. 시민들의 호응도 좋아 지난 6월1일부터 확대 시범 운영 중이다. 일각에서는 흘러나온 오수가 하수관을 통해 새어나가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한다. 또한, 그동안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를 위해 예산을 쏟아온 정부의 방침과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비판을 위한 비판은 생산적이지 못하다.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설치 조건이 까다로워 도입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적이다.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와 분쇄를 적절하게 조화시킨다면 편리성과 경제적 효과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