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탉’이 웃으면 ‘한국 애니’가 흥할까
  • 김진령 (jy@sisapress.com)
  • 승인 2011.07.19 12: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산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긍정적인 사전 평가에 힘입어

ⓒ명필름 제공


한국 애니메이션은 세계적인 완성도를 자랑한다. 세계를 제패한 할리우드산 애니메이션의 엔딩 자막에서 한국 애니메이터의 이름은 필수적이라고 할 만큼 쉽게 발견된다. 하지만 한국에서 기획되고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은 판판이 깨졌다. <마리 이야기> <원더풀 데이즈> 등 큰 기대를 모았던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그림의 완성도가 높았음에도 흥행에서 고배를 마셨다. 그래도 도전은 계속된다. 장편 극장용 애니는 내줄 수 없는 큰 시장이기 때문이다.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이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오는 7월28일 국산 애니메이션으로는 드물게 전국 4백개 이상의 개봉관에서 대규모로 개봉한다. <…암탉>이 <카 2>(디즈니-픽사)나 <쿵푸팬더 2>(드림웍스)를 이길 수 있을까?

일단 사전 평가는 긍정적이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명필름과 오돌또기가 공동 제작을 하고 롯데가 투자·배급을 맡아 한국 애니메이션 사상 가장 안정된 진용을 갖추었다. 총 제작비도 48억원이나 들었다. 투자 배급을 맡은 롯데는 지난해 말 러시 필름이 나온 것을 보고 흥행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합류했다. 이런 것도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이다. 이 영화의 오성윤 감독(오돌또기 대표) 은 “42세에 시작해 8년이 걸렸다. 작품 기획안 단계에서부터 명필름과 같이 작업하면서 시나리오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 오성윤 감독

국산 애니메이션의 승패도 결국은 시나리오 때문이기에 상업 영화의 경험이 많은 명필름의 파트너십이 큰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명필름과 공동 제작하면서 ‘선 녹음, 후 제작’이라는 할리우드 방식도 국내 최초로 도입되었다. 목소리 주연을 맡은 유승호나 문소리가 대본을 녹음하면 그 표정과 입 모양에 맞춰 애니메이터들이 초 단위로 표정 연기와 몸 연기를 그림으로 구현해낸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의 완성도를 높일뿐더러 영화 홍보에도 목소리 연기를 한 배우의 스타성이 도움이 되기에 할리우드에서는 이미 상식이 된 진행 방식이다. 

오돌또기는 이 프로젝트 시작 전 제주도 4·3 사건을 다룬 오돌또기 프로젝트를 10여 년간 진행하다가 시나리오 진척에 문제가 생겨 미완으로 끝난 뒤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탄탄한 원작을 가진 <마당을 나온 암탉>을 만나면서 당시의 스태프가 모두 투입되었다.

탄탄한 원작+공들인 시나리오+일곱 가지 공정 거친 그림

사실 국산 애니는 그동안 뛰어난 장인적 솜씨의 그림 완성도에 비해 이야기의 호소력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되어왔다. 오감독은 “원작 동화가 워낙 탄탄하고, 웰메이드 영화로 이름 높은 명필름의 프로덕션 관리가 효과가 있었다. 요즘 3D 애니메이션이 대세라고 하지만 2D로 제작한 그림을 보고 눈맛이 시원하다는 평도 듣고 있었다. 디테일에서 할리우드산보다 낫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역설적으로 이 영화의 최대 장점이 ‘그림’이라고 강조했다. 셀 애니메이션의 평면성과 색채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일곱 가지 공정을 거쳤고, 원작 동화의 정서를 전달하기 위해 ‘그림의 손맛’을 최대치로 높였다는 것이다.

할리우드산 애니와의 차이점에 대해 오성윤 감독은 “픽사나 드림웍스는 20대 성인 관객을 타깃으로 하는데, 우리는 엄마와 어린이를 메인 타깃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원작 동화를 읽고 자란 20대 관객층이 우리의 타깃이다”라고 설명했다. 일단 시사회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성장 과정에 피할 수 없는 자기 희생에 대한 은유적 이야기 방식에 대한 성인의 반응도 좋고, 취학 전 아동도 영화에 쉽게 빠져들고 있다는 후문이다. 오감독은 영화 완성 뒤에도 6월 중순부터 블라인드 시사회를 통해 편집 작업을 다시 하면서 완성도를 높였다. 영화의 끄트머리에 배치된 슬픈 장면이 어린이에게는 파격으로, 성인 관객에게는 피할 수 없는 세상사의 진실로 받아들여질 법하다. 오감독과 한국 애니의 도전이 시장에서 어떤 평가를 받을지 주목된다. 



2000년에 출간된 후 아동문학계의 베스트셀러가 된 창작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이 장편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되었다. <너에게 나를 보낸다> <꽃잎>의 애니메이션 부분을 연출했던 오성윤 감독과 1백20명의 스태프가 8년간 공들여 제작한 2D 애니메이션이다. 원작의 의미는 물론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서의 재미까지 갖추었다.

<미운 오리 새끼>가 오리 새끼로 자란 백조의 자아 정체감을 그린 동화라면, <마당을 나온 암탉>은 오리 새끼를 품은 암탉의 모성을 그린 동화이다. 매일 알을 낳아 빼앗기는 양계장 암탉은 알을 품는 것이 소망이다. 죽음을 가장해 양계장을 탈출한 암탉은 족제비의 공격을 받는다. 청둥오리의 도움으로 살아난 암탉은 그가 남긴 알을 품는다. 부화한 청둥오리 새끼는 암탉을 엄마로 여기지만, 자신과 달리 날지도, 헤엄치지도 못하는 엄마에게 불만을 느낀다. 그러나 암탉은 무력하지 않다. 새끼가 농장에 잡혀 날개를 잘릴 위험에 빠지자, 목숨을 걸고 새끼를 구한다. 가을이 되어 청둥오리 떼가 날아들자 암탉은 새끼를 무리 속으로 떠나보낸다. 새끼는 무리의 파수꾼이 되어 철새의 길을 떠나고, 홀로 남은 암탉은 굶주린 족제비와 마주친다. 그리고 족제비 역시 새끼를 품은 어미임을 알기에 선선히 자기 몸을 내어준다.

모성마저 박탈당한 노예의 삶을 거부하고, ‘가슴으로 낳은’ 자식을 품으며, 자식의 본성에 맞는 길을 열어주고, 마침내 모성의 보편성으로 살신성인의 경지에까지 이르는 주인공의 모습은 깊은 감동과 통찰을 안긴다. 애니메이션에는 원작에 없던 감초 역할의 수달이 등장하고, 박진감 넘치는 파수꾼 선발 경주 장면이 더해졌다. 문소리, 박철민, 유승호 등 배우들의 목소리 연기도 매력적이거니와, 선 녹음-후 작화-본 녹음의 시스템을 도입해 대사와 입 모양이 자연스럽게 일치하는 것도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가족 관람용으로 원추정치를 소재로 하지 않는다고 해서 드라마에 정치적 입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이언트>는 개발 시대의 서울 강남 땅을 두고 벌어지는 쟁탈전과 복수를 그렸지만, 정치적인 입장에는 그 비판과 옹호가 혼재되어 있다. 주인공이 어떤 면에서는 개발의 주동자로 서지만 어떤 면에서는 그것의 허무함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성균관 스캔들>은 청춘 사극처럼 보이지만 민초와 당시 여성이 겪는 한계를 동일 선상에 놓음으로써 혁명에 대한 정치적 노선을 드러낸다. <추노>는 수많은 민초가 거의 수평적으로 주인공처럼 등장했다는 그 사실만으로도 정치적 입장을 엿보게 하고, <제빵왕 김탁구>는 막장스런 시대와 싸우기보다는 개인적인 성장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결국은 보수적이다. 한편 <파스타> 같은 멜로 드라마는 그 안에 남녀와 셰프와 요리사 사이의 권력 구조와 그 해결 과정을 넣음으로써 나름의 정치적 입장을 드러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