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질, 아직도 ‘하위권’
  • 이규대 기자 (bluesy@sisapress.com)
  • 승인 2011.11.27 12: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OECD 34개국 중 26위라는 평가 나와…사회적 관계·여가 시간·정부 신뢰도 등에서 낮은 수준

‘잘 사는 것’은 모든 사람의 소망이다. 국가의 궁극적인 역할 또한 모든 국민이 잘 살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세계 속에 견주어볼 때 현재 한국인들은 얼마나 잘 살고 있을까.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누리는 삶의 질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다른 사회와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와 관련해 최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내놓은 한 보고서가 눈길을 끈다. 지난 10월12일 발표된 ‘How’s Life? measuring well-being’이다. 이 보고서는 OECD에 가입된 34개 국가 그리고 국제 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는 기타 8개 신흥국의 국민들이 영위하는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물이다. 기준은 OECD가 자체적으로 선정한 지표에 근거하고 있다. ‘소득 및 부’ ‘직업과 임금’ ‘주거’ ‘건강 상태’ ‘일과 여가 생활 균형’ ‘교육과 기술’ ‘시민 참여 및 거버넌스’ ‘사회적 관계’ ‘환경의 질’ ‘신변 안전’ ‘주관적 웰빙’ 등 11개의 지표별로 각 10개 안팎의 관련 통계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기존에 발표된 통계 자료를 종합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이 때문에 다소 미흡한 점이 눈에 띄는 것도 사실이다. 조사 시점이 국가별로 다른 경우도 있고, 일부에 한해서는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몇몇 국가가 누락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각 국가별 삶의 질을 대략적으로 비교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주OECD 대표부 김석원 주재관은 “OECD 회원국 및 주요 신흥국 등 각국의 ‘웰빙’ 수준을 개념적 단계가 아닌 실제 비교 가능한 지표를 통해 항목별 및 전체 순위를 도출하고 전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의 내용 중 한국인의 삶의 질과 관련해 특히 흥미로운 부분을 소개한다.

출퇴근 시간은 길고, 여가 시간은 짧고…

우선 각 국가별 통근 시간을 비교한 통계가 있어 시선을 끈다. 삶의 질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로 ‘노동 및 여가 생활의 균형’이 선정되었고, 여기에 통근 시간이 하나의 기준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과연 우리가 ‘길’ 위에서 보내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이 하루 동안 통근에 할애하는 시간은 55분이다(그래프 1 참조). 비교 대상인 23개 국가 중 2위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이다. OECD 평균(38분)과 비교하면 17분, 통근이 가장 적게 걸리는 아일랜드(26분)와 비교하면 거의 30분가량이 더 걸린다. 세계 최장의 노동 시간으로 악명 높은 한국 사회는 통근 시간마저 세계적인 수준인 셈이다.

이 때문에 개인이 누리는 여가 시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한국인들의 여가 시간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하루에 갖는 여가는 3.84시간(약 3시간50분)으로, 조사가 실시된 20개 국가 중 17위를 기록하며 하위권을 차지했다. OECD 평균인 4.31시간(약 4시간20분)과는 약 30분 차이가 난다. 5시간 안팎의 여가를 누리고 있는 북유럽의 복지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차이가 더 크다.

세 명 중 두 명, 정부에 대해 불신

우리 정부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인 쪽에 더 가까웠다. 정부 기관을 신뢰하는 한국인은 전체 응답자 중 32.4%에 불과했다(그래프 2 참조). 한국인 세 명 중 두 명은 정부를 믿지 않는다는 뜻으로, 전체 39개 국가 중 30위에 해당하는 낮은 신뢰도이다.

보고서는 ‘정부에 부패가 만연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OECD 평균이 57.1%인 데 반해 우리나라는 64.6%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결국 한국인들은 정치적 영역과 관련한 삶의 질에 대해 낮은 평가를 내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사법 체계 및 언론에 대한 신뢰 또한 낮은 편이었다. 재판 제도 및 법정을 신뢰하는 사람의 비율은 31.8%, 언론을 신뢰하는 사람의 비율은 22.1%로 각각 나타났다.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하위권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덜 만족스러운 주거 여건

다른 OECD 국가의 시민들에 비해, 한국인들은 지금 살고 있는 집에 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살고 있는 곳에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은 73%로 OECD 평균인 87.2%에 못 미쳤다(그래프 3 참조). 전체 33개국 중 29위를 차지하며 하위권을 형성했다.

한국인 1인이 생활하고 있는 방의 숫자는 1.3개로 OECD 평균 1.6개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2개국 중 22위에 해당한다. 또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생활 여건이 열악한 집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거지에 목욕 및 샤워 시설이 없는 사람의 비율은 3.83%, 수세식 화장실이 없는 사람의 비율은 7.46%이다. 각각 2%, 2.66%인 OECD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

한편 ‘환경’ 부문에서 눈에 띄는 것은 대기오염 관련 자료이다. 1시간 평균 미세 먼지량을 비교한 결과 전체 40개국 중 9위로 순위가 다소 높게 나왔다. 신흥 공업국을 제외한 OECD 국가 중에서는 여섯 번째에 해당한다.

취약한 사회적 관계

삶의 질을 평가하는 11개 지표 중 한국 사회가 특히 취약한 부분은 ‘사회적 관계’였다. 해당 지표들에 대한 각 국가별 평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OECD Better Life Index’(http://www.oecdbetterlifeindex.org/)에서도 우리나라의‘공동체’(Community) 지수가 최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친지나 친구가 있는 사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79.8%로 전체 40개국 중 네 번째로 적은 수치를 보였다(그래프 4 참조). 즉, 20%가량의 한국인은 주위에 도움이 될 만한 친지 및 친구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타인을 신뢰할 수 있다고 밝힌 사람’의 비율 또한 25.6%로 OECD 평균인 33%보다 적었다.

삶의 만족도는 경제력에 비해 낮은 편

각국 국민들이 주관적으로 체감하는 삶의 만족도를 수치로 제시하고 있는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한국인은 스스로의 삶 만족도에 대해 10점 만점에 6.1점이라고 평가했다(그래프 5 참조). OECD 평균인 6.7점에 못 미치는 수치이다. 보고서에서는 일본, 한국 등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국가가 경제적 수준에 비해 낮은 삶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리나라와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비슷한 그리스와 포르투갈은 더욱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였다. 1인당 GDP가 우리의 절반 수준인 브라질과 멕시코는 반대로 더 높은 삶의 만족도를 보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실제로 한국인이 영위하는 삶의 질은 OECD 국가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갖고 있을까. 11개 영역에 가중치를 부여해 종합한 결과, 우리나라는 OECD 34개 회원국 중 하위권을 기록했다(그래프 6 참조). 진정한 의미의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이 영위하는 삶의 질을 좀 더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말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