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지지층, 인사 참사로 ‘와르르’
  • 이택수│리얼미터 대표 ()
  • 승인 2014.07.23 08:2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전대’ 반짝 장세 그치고 다시 40%대 추락

세월호 참사의 대형 악재에도 근근이 50%대를 지켜냈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40%대로 추락한 건 문창극 총리 후보자 지명 때문이었다. 문 후보자에 대한 KBS <뉴스9>의 온누리교회 강연 보도는 6월11일에 있었고, 보도 이틀 후인 13일 조사 때부터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는 긍정 평가를 본격적으로 앞서기 시작했다.

박 대통령이 문 후보자를 총리로 지명한 6월10일, 리얼미터 일간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51.1%로 부정 평가(41.8%)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정치평론가나 여론조사 전문가 어느 누구도 이러한 추세가 급변할 것이라고는 예상치 못했다. 하지만 임명 다음 날 KBS가 문 후보자에 대해 “교회 장로인 문창극 후보자가 교회 강연에서 일제의 식민 지배와 이어진 남북 분단이 하나님의 뜻이란 취지의 발언을 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문 후보자의 역사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강연인데 파문이 예상됩니다”라고 보도하자 상황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7월14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정성근 자진 사퇴 파동, 이후 하락세 반전

KBS 보도 이틀 후인 13일, 부정 평가가 47.2%로 치솟고, 긍정 평가가 45.5%로 하락하면서 올 들어 처음으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서더니, 17일에는 부정 평가가 50.2%로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50%대로 올라섰다. 그리고 18일에는 51.7%까지 올라 취임 후 부정 평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전까지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부정 평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취임 직후 1기 내각 구성을 하던 과정에서 김병관 국방부장관 후보자, 김학의 법무부 차관 후보자,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 세 사람의 연이은 낙마가 있었던 2013년 3월27일로 당시 46.1%를 기록했던 때가 최고였는데, 문 후보자 파문으로 그 기록이 깨져버린 것이다.

문창극 후보자가 내정된 지 14일 만에 사퇴를 했지만, 한번 역전된 부정 평가의 우세는 쉽사리 변하지 않았다.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으로 지난 7월4일 단 하루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1.4%포인트 앞서기는 했지만, 2기 내각에 대한 청문회가 이뤄지면서 다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계속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이변이 일어났다. 한 달가량 이어지던 이러한 기류가 7월14일 새누리당 전당대회를 거치면서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

터닝 포인트는 바로 김무성 의원이었다. 공교롭게도 ‘비박(非朴)’ 당권 주자였던 김 의원이 새누리당 대표로 선출되자 대통령 지지율은 다시 급등해 전당대회 이틀 후인 16일 조사에서 문 후보자 지명 이후 처음으로 50%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는 45.7%로 다시 낮아졌다. 전대 컨벤션 효과를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컸다.

김명수 사회부총리 후보자 낙마 소식에도 대통령 지지율이 오른 것은 김무성 신임 대표 선출 소식 외에는 설명할 다른 요인이 없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친박(親朴)’의 위기감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을 끌어올렸다고 볼 수 있다. 친박 맏형으로 당권에 도전한 서청원 의원이 김 의원에게 참패하고, 친박 핵심 홍문종 전 사무총장도 최고위원 경쟁에서 떨어지면서 박 대통령의 집권 2년 차가 큰 위기에 봉착하자 전통적인 ‘박근혜 지지층’이 다시 결집하는 듯한 양상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7·30 재보선과 세월호 특별법이 향후 변수

6·4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성적표에서 8 대 9로 여당이 야당에 석패(惜敗)하고, 이후 문창극 총리 후보자와 김명수 부총리 후보자의 연이은 낙마가 새누리당 전당대회 판세를 바꿔놓았다. 이후 정홍원 총리가 유임되고, 새로 지명된 일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부적합 여론이 들끓으면서 새로운 당·청 관계가 요구되었고, 결국 당심과 민심 모두에서 서청원 의원은 패배했다.

하지만 2기 내각이 불완전한 상태로 출범하고,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 낙마, 황우여 교육부장관 임명과 관련한 당·청 간 불통 논란이 여전한 상황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50%대를 회복한 채 그대로 유지될지는 불투명해 보였다. 실제 이는 현실로 나타났다. 친박 퇴조로 인해 한때 반짝했던 전통적 지지층 결집 양상은 불과 하루 만에 무너졌다. 정성근 후보자 임명 강행에 따른 비난 여론과 바로 뒤이은 자진 사퇴 파동이 휘몰아친 18일, 박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 긍정 평가는 다시 45.9%로 추락했다. 부정 평가는 47.9%로 다시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향후 7·30 재·보궐 선거가 대통령 지지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6·4 지방선거가 사실상 여야 무승부로 끝났고, 이번 재보선이 결승전이라는 평가가 있는 만큼, 재보선 15개 의석 중에서 8개 이상을 가져가게 될 경우, 현 정부에 대한 재신임 평가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김무성 대표 얘기대로 4석 이상을 가져와 과반 의석만 유지하면 다행이라는 엄살 작전도 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의 ‘정략’ 공천 논란으로 초반 판세가 여당에 불리하지 않은 만큼, 새누리당이 8석을 차지하는 것도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8 대 7로 여당이 승리할 경우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추가 장관 인선과 청문회 과정에서 또 다른 악재가 터지고, 세월호 특별법이 제대로 합의되지 않을 경우, 그리고 7·30 재보선에서 여당이 7 대 8 이상으로 패배할 경우 대통령의 레임덕과 관련한 논란은 다시 불붙을 가능성 또한 크다. 7·30 재보선의 승부가 그래서 중요하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