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치매 진단법으로 등장한 ‘드라마 시청’
  •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 승인 2018.10.22 16:0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확도 최대 95% 수준···기존 검사보다 간편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만으로도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는 진단법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최지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김고운 전북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10월22일 뇌과학에 기반한 시나리오로 만든 영상을 토대로 치매를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영상은 생일을 맞은 1명과 생일파티에 초대받은 6명에 일어나는 상황을 중심으로 한 미니 드라마다. 상영시간은 7분에 불과하지만 등장인물, 배경, 소품, 어투, 억양 등 모든 요소가 사전에 치밀하게 계산돼 한 개인의 인지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피험자가 드라마를 시청한 뒤 관련 내용 등에 대해 설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이뤄진다. 

 

영상 장비를 활용한 치매 검사 장면(삼성서울병원)​


 

기존 검사가 여러 단어를 나열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외우라는 등 일종의 시험과 같았다면, 새 진단법은 피험자의 인지기능이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는 데 주안점을 뒀다는 말이다. 연구팀은 “피험자가 HMD(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고안된 작은 화면)를 착용한 상태에서 영상을 시청하므로 마치 실제 현장에 있는듯한 느낌이 들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 영상을 보고 설문에 답한 피험자의 답변 내용은 기계학습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거쳐 만든 알고리즘으로 풀어낸다. 연구팀이 주관적 인지기능장애 환자·경도인지장애 환자·치매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시험의 정확성을 가늠하는 민감도가 93.8~95.1%에 달했다. 영상을 본 피험자의 답변만으로도 정상인지 또는 경도인지장애나 치매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도인지장애를 세분화해 치매로 악화 가능성이 큰 아밀로이드 양성인 경우도 이 진단법으로 가려낼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경우 향후 확진 시 필요한 핵의학검사(PET) 대상자를 간추릴 수 있어 불필요한 검사를 사전에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덕렬 교수는 “기존 검사는 환자의 긴장도를 불필요하게 높일 뿐 아니라 실생활에서 필요한 인지 능력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치매를 되돌릴 방법은 아직 없지만 늦출 수 있는 기회는 존재하는 만큼 간편하고 손쉬운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이뤄지는 토대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 진단법은 국가기술연구회 치매DTC사업단의 지원으로 삼성서울병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공동 연구해 개발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근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