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러설 수 없는 총선 승부처 ‘낙동강 전선’ 사수하라(與)
  • 송창섭 기자 (realsong@sisajournal.com)
  • 승인 2019.05.20 14:00
  • 호수 154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김영춘 민주당 의원 “내 임무는 PK 보수 회귀 막고 중원 넓히는 일이다”

선거 때마다 여야, 진보·보수 모두 PK(부산·경남·울산) 지역을 결코 뺏길 수 없는 최대 승부처로 꼽는다. 최근 몇 년 여야는 이곳에서 선거 승패를 번갈아 가져갔다. 2016년 20대 총선과 지난해 6·13 지방선거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승기를 잡았지만, 최근 4·13 재보선에서 PK 민심은 민주당에 경고장을 내밀었다. 2020년 21대 총선을 1년여 앞둔 현재, 여야 어느 쪽도 PK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지 못하고 있다.

그 때문에 PK는 벌써부터 민심 쟁탈을 위한 여야의 신경전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PK의 총선 전략을 주도적으로 이끌게 될 민주당·자유한국당 부산시당도 민심 사수에 분주해졌다. 양측 모두 PK 혈투에 따라 총선의 승패가 좌우될 뿐 아니라 차기 대선에도 영향을 미칠 거라고 내다본다. 시사저널은 5월14일, 3선 중진으로 현재 민주당과 한국당의 부산 지역 정치 수장 역할을 하고 있는 김영춘 의원과 김세연 의원을 각각 만나, PK 민심의 현지 분위기와 총선에 대한 전망을 들어봤다. 

ⓒ 시사저널 박은숙
ⓒ 시사저널 박은숙

20대 총선에서 김영춘 의원은 난공불락인 지역구도의 벽을 뛰어넘어 부산(부산진 갑)에서 당선, 3선 고지에 올랐다. 현재 여권에서 PK에 기반을 둔 3선(초·재선은 서울 광진 갑에서 당선)은 김 의원이 유일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에는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입각해 행정 경험을 쌓았다. 부산 지역구 국회의원과 해수부 장관을 거친 이력은 고(故) 노무현 대통령과 같다. 이 때문에 여권에서는 김 장관을 잠재적 대권 후보군으로 꼽는다.

그렇기에 3월27일 장관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2022년 대선에 출마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민국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통일이며, 통일을 실현해 내는 대통령을 해 보고 싶다”고 말한 게 정치권에 파장을 낳기도 했다. 이날 발언은 진심일까. 시사저널과의 인터뷰에서 김 의원은 “와전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 여권을 바라보는 PK 민심은 싸늘하다. 김 의원도 이러한 지역 정서에 공감한다. 오히려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당 복귀 후 백의종군을 선언한 김 의원은 현재 민주당 부산시당 산하 싱크탱크 ‘오륙도연구소’ 소장직만 맡고 있다. 소장직 수락 이유에 대해 “나 혼자 잘 살고자 함이 아닌 견마지로(犬馬之勞)의 심정에서 수락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말에서 절박함이 묻어난다. 김 의원은 “여론조사기관들이 말하는 것보다 (민심이)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 않다”며 “우수한 인적 자산이 나와서 한국당과 인물 경쟁을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춘 의원이 해양수산부 장관시절인 지난 3월7일 부산항을 방문해 러시아 화물선 시그랜드호 광안대교 충돌사고 브리핑을 듣고 있다. ⓒ 연합뉴스
김영춘 의원이 해양수산부 장관시절인 지난 3월7일 부산항을 방문해 러시아 화물선 시그랜드호 광안대교 충돌사고 브리핑을 듣고 있다. ⓒ 연합뉴스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대권 도전 뉘앙스로 발언을 했다.

“물어봐서 답한 것뿐이다. 솔직히 대권 같은 거 관심 없다. 여러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모셔봤는데, 별로 행복한 인생이 아니다. 퇴임 후까지 불행한 삶을 살아야 하고…. 그만큼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 더군다나 나는 구속되기 싫어하는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다. 그러나 정치인으로서 대한민국을 통일시킬 수 있는 대통령이라면 모든 것을 희생시키더라도 해 보고 싶기는 하다. 대한민국을 통일시키고 선진국으로 도약시키는 자리라면 대통령이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당 복귀 후 어떻게 시간을 보내나.

“정부에서 일하다 보니, 지역구를 잘 챙기지 못했다. 요즘은 여의도(국회)에 일이 없으면 가급적 지역에 내려가 주민들을 만난다. 어르신들 만나 복귀 인사부터 드려야 한다. 오늘(5월14일)도 오전에 밀린 일을 보고, 이 인터뷰 끝나고 바로 부산으로 갈 거다.”

대통령도 최근 ‘성과’라는 단어를 자주 입에 올리고 있다.

“당연하다. 집권 후 2년이 다 됐으니, 정부의 정책 결과를 국민이 피부로 느껴야 한다.”

대치 정국이 꽤 오래간다.

“제가 비교적 정치생활을 오래 했는데, 양상만 달라졌을 뿐 극한적 대립, 갈등, 적대적 배타 현상은 30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았다. 안타깝고 답답하다.”

한국당 설득 과정이 부족하지 않았을까. 

“정개특위만 해도 1년을 계속 운영했다. 작년 12월에 다른 야 3당이 요구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적극 검토한다고 합의해 놓고서는 올해 3월 와서는 아예 비례대표제를 없애겠다고 한다. 민주당이 다른 야 3당의 협조를 얻기 위해서도 법안을 패스트트랙에 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 ‘패스트트랙’ 법안은 솔직히 ‘슬로트랙’이다. 그만큼 입법화되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는 뜻이다.”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PK 민심이 심상치 않다.

“솔직히 여론조사보다 더 나쁘다. 지방경제가 아주 힘들어서다. 체감지수는 서울·수도권의 3~4배다.”

해법은 뭔가.

“경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선거는 쉽지 않을 거 같다.”

PK 선거 결과가 차기 총선의 승부처라는 것에 동의하는가.

“지금의 선거제로 치러질 경우, 민주당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려면 PK에서 과반수 이상 당선돼야 한다.”

인적 자원의 상당수를 PK에 투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희망사항이다. 좋은 선수를 많이 투입하는 것은 나쁜 게 아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부산 출마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부산 출신이니까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조 수석의 선택이다. 본인은 안 하고 싶어 할 거다. 당을 위해서도 (출마)할 생각이 없다. 대통령이 자기에게 출마하라고 강권하지 않을 거라고 믿고 있는 것 같다. 그러니 당도 조금 담담하게 대했으면 좋겠다.”

조 수석 출마가 부산 지역 선거 판세에 영향을 줄까.

“조 수석은 일종의 셀럽(셀러브리티·유명 인사)이다. 부산 출신이 아니어도 사람을 모으는 세상이다. 하물며 조 수석은 부산 사람인데, 어떻게 영향을 안 미칠 수 있겠는가.”

자영업자 비중이 높다 보니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 현 상황이 어떤가.

“부산은 자영업자 비율만 높은 게 아니다. 노인 인구 비율도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다. 그래서 ‘노인과 바다의 도시’라고 부르는 거 아닌가.”

PK 표심이 한국당으로 다시 갈 거라고 보나.

“원래 한국당의 도시였다. 지금은 과거로 회귀하는 걸로 봐야 한다. 완전히는 아니고 회귀 중이다. 제 임무는 그 회귀를 멈추고 다시 중원을 넓히는 일이다.”

 

☞연관기사

물러설 수 없는 총선 승부처 ‘낙동강 전선’ 사수하라(野)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