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기억, 장자연·일본·조선일보
  • 노혜경 시인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19.05.25 16:00
  • 호수 15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은폐하려는 자들과 기억하려는 자들

대검찰청 과거사 진상조사단이 장자연 사건의 재수사를 권고하지 않기로 했다는 발표를 접하면서, 떠오르는 기억이 있다. 지난 2월25일부터 3월20일까지 서울도시건축센터에서 열린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이라는 제목의 전시다. 

서울대학교 정진성 교수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이 오랜 세월에 걸쳐 전 세계에서 찾아낸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들과 증언과 기록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주는 전시였다. 여기서 나는 오키나와의 배봉기 할머니와 관련된 강연을 들었다. 배봉기 할머니는 한반도에서 위안부로 끌려간 여성 중 최초의 증언자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오랫동안 그 존재를 모르거나 잊었다가 뒤늦게 알려진 분이다. 전시에서는 배봉기 할머니처럼 잊혔다가 다시 기억의 이편으로 등장한 분들 이야기도, 미얀마로 끌려간 위안부들처럼 이동경로와 산발적인 기록자료들만 있을 뿐 증언은 전혀 없어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인지는 오로지 유추할 수 있을 뿐인 이들의 사연도 있다. 

이렇게 분명한 기록과 기억으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사죄를 이끌어낼 수 없다는 분노에 조선일보 방 사장과 그를 감싼 검경을 단죄할 수 없다는 분노가 겹쳐졌다. 그러나 나는, 끈질기게 기록하고 기억하는 힘이 우리에게 있으므로 일본은 세계사적 악행의 기록을 사면받지 못하는 반인권적 국가로 역사의 법정에 거듭 소환된다는 사실을 떠올린다. 조선일보도, 그의 주구가 된 검경도 그럴 것이다. 

용기 있게 자신의 피해를 증언했던 배봉기·김학순·김복동 등에 힘입어 우리는 시작했고, 지워지고 잊혔던 수많은 위안부들의 삶을, 그 흔적을 다시 기록하고 기억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만행을 저지른 일본이 부정하고 은폐하고 회유하려는 끈질긴 노력을 하고 있어도, 기억하려는 사람들의 기록은 조금씩 진상을 향해 나아가며, 그 기록은 다시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낸다. 잊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노력이라는 기억이다. 

5월20일 정한중 법무부 검찰 과거사위원장 대행과 문준영 법무부 검찰 과거사위원회 위원이 경기도 과천시 법무부에서 고(故) 장자연씨 사건의 재수사 권고 여부를 발표하고 있다. ⓒ 시사저널 임준선
5월20일 정한중 법무부 검찰 과거사위원장 대행과 문준영 법무부 검찰 과거사위원회 위원이 경기도 과천시 법무부에서 고(故) 장자연씨 사건의 재수사 권고 여부를 발표하고 있다. ⓒ 시사저널 임준선

기록과 기억의 힘으로 역사에 남겨야

장자연은 연예계의 성폭력뿐만 아니라 조선일보 방 사장을 고발했고, 한국의 검찰이 사법정의가 아니라 조선일보에 복종했다는 증거로 남았다. 당장 법적 처벌을 못 한다 해도 우리는 몇십 년을 두고 또 다른 기록 기억 전시를 할 거다. 장자연은 기록하고 증언했다. 그 기록은 바로 지금 우리의 기억이 되었다.

‘장자연 리스트 사건’ 조사 및 심의 결과 보도자료는 새로 기록된 중요한 기록이다. 실제 보고서는 훨씬 자세할 것이지만, 보도자료만으로도 2009년 사건 당시 경찰과 검찰이 얼마나 수사를 회피했는지, 얼마나 중요한 관련자들을 숨기려 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장자연이 남긴 문서에서 핵심적으로 거론된 가해인물은 셋이다. 기획사 사장 김종승, 조선일보 방 사장, 조선일보 방 사장 아들인 ‘스포츠조선 사장’. 이 가해자 리스트에 검찰과 경찰의 수사회피와 조선일보의 다양한 압력과 회유라는 사건이 추가되어 기록되었다. 앞으로 드라마와 소설 작가들이 수시로 이 기록을 열어볼 것이고, 우리는 검색순위에 이들을 올려놓을 것이다. 기억하는 힘은 우리의 무기다. 기록하는 힘은 우리의 처벌이다. 장자연도 위안부 할머니도 그 밖의 모든 고발자들과도 우리는 함께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