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두율 인터뷰①] 文정부 부패 문제 터지면 진보정치 절망
  • 송창섭 기자 (realsong@sisajournal.com)
  • 승인 2019.06.24 16: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30주년 특별기획 - 대한민국, 길을 묻다(22)] '경계인’ 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

혼돈의 시대다. 혹자는 난세(亂世)라 부른다. 갈피를 못 잡고, 갈 길을 못 정한 채 방황하는, 우왕좌왕하는 시대다. 시사저널은 2019년 올해 창간 30주년을 맞았다. 특별기획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 등 각계 원로(元老) 30인의 ‘대한민국, 길을 묻다’ 인터뷰 기사를 연재한다. 연재 순서는 인터뷰한 시점에 맞춰 정해졌다. ①조정래 작가 ②송월주 스님 ③조순 전 부총리 ④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⑤손봉호 기아대책 이사장 ⑥김원기 전 국회의장 ⑦김성수 전 대한성공회 대주교 ⑧박찬종 변호사 ⑨윤후정 초대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⑩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⑪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 ⑫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⑬허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⑭이종찬 전 국회의원 ⑮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⑯박관용 전 국회의장 ⑰송기인 신부 ⑱차일석 전 서울시 부시장 ⑲임권택 감독 ⑳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21 이문열 작가 22 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

시사저널은 지난해 4월 재독(在獨) 철학자 송두율 전 뮌스터대 교수(이하 송교수)와 판문점에서 열린 3차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특별 대담을 가졌다(1489호 “北, 대화상대론 오바마보다 트럼프가 적합”). 인터뷰에서 송 교수는 3차 회담의 의미를 높게 평가하면서 두 달 뒤 열리는 첫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이후 온라인상에선 남북 화해·협력에 대한 송 교수의 견해를 놓고 열띤 찬반이 벌어졌다. 기사를 쓴 기자에게 보내온 독자 이메일 역시 호응과 비난 딱 두 부류였다. 송 교수를 향한 우리 사회의 논쟁은 현재진행형이다. 스스로 말해 온 ‘경계인의 삶’이 어떤 것인지를 실감케 한 일이었다. 안타깝게도 당시 인터뷰는 전화로 진행됐다. 그렇기에 송 교수를 직접 만나고 싶었다.

ⓒ 시사저널 송창섭
ⓒ 시사저널 송창섭

좌우 어느 쪽에도 기대지 못한 ‘경계인’

송 교수와의 만남이 이뤄진 것은 그로부터 석 달 뒤인 7월초. 당시 시사저널은 지령 1500호 기념 ‘특집 인터뷰’차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를 만나러 베를린으로 날아갔다. 독일 통일의 상징 브란덴부르크문 부근에서 슈뢰더 전 총리와 인터뷰를 가진 후, 기자는 베를린 남서쪽에 있는 송 교수 집 문을 노크했다. 녹음이 짙게 깔린 베를린자유대학 근처 평범한 중산층 동네에 자리 잡은 송 교수 집은 지어진 지 100년이 넘은 건물이었다. 프로이센공국 시절 지어졌기에 내부는 많이 낡았다. 실내를 걸을 때마다 삐걱대는 나무 바닥 소리도 제각각이다. 우리나라였으면 허물고 새로 지었겠지만, 문화와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인들은 건물 보존에 힘썼다. 불편함은 나중 문제다. 송 교수 역시 지내기에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한다는 반응이었다.

공교롭게도 송 교수 집(5층 빌라) 1층엔 주한 독일대사를 지낸 한스 울리히 자이트 박사가 살고 있다. 자이트 박사가 주한 대사로 부임하기 전 3개월간 광주 전남대에서 한국어 연수를 받으며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공부한 것도 송 교수와의 남다른 인연 때문이다. “한국을 이해하려면 광주에 가봐야 한다”는 송 교수의 강력한 추천이 있었다.

서울대 철학과를 나와 독일로 유학, 1972년 프랑크푸르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2년 뮌스터대에서 사회학 교수 자격을 얻은 송 교수는 뮌스터대·베를린자유대·하이델베르크대·훔볼트대와 미국 롱아일랜드대에서 철학·사회철학·사회학 등을 가르치다 2009년 정년퇴임했다. 타국에서 지낸 지 반세기를 훌쩍 뛰어넘었지만, 그의 시선은 하나 된 한반도를 향한다. 그게 참 지식인의 삶이라고 여긴다. 송 교수와의 인터뷰는 6월14일 오후 국제전화로 진행됐다. 베를린 시각으로 아침 8시에 전화를 걸자 그는 반갑게 맞이했다.

여전히 국내 보수층 사이에선 친북 인사로 낙인찍혀 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친북이다, 종북이다’고 말할 때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지 않습니다. ‘불이야’라고 외치고선 아무 책임도 안 지죠. 내가 ‘내재적 접근’을 강조한 것도 북을 실사구시 정신에 따라 살펴보기 위해섭니다.”

하지만 교수님이 중요하게 여기시는 민주주의·인권·반독재 가치로 봤을 때 북한도 분명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

“문제가 전혀 없을 수 없죠. 미국 워싱턴에 휴먼라이트워치(Human Right Watch)라는 단체가 있어요. 이곳에서 매년 랭킹을 매깁니다. 바닥에 있는 나라들은 뻔해요. 북한, 시리아, 수단인데요. 재미있는 것은 그 바로 앞에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가 있다는 겁니다. 그러나 이들을 대놓고 비판하는 나라가 있습니까. 북의 인권 문제를 거론할 때 탈북자 문제를 많이 이야기하는데, 탈북의 동기는 역시 경제적 어려움에 있다고 봅니다.”

남북관계가 좋지 않은데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문재인 정부가 많이 공을 들였습니다만 역시 ‘북·미 관계’라는 중요한 고리가 아직 풀리지 않은 상태예요. 정상회담을 또 한 번 한들 이 문제가 어느 정도 풀리지 않으면 어렵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남북하고 북·미 관계를 동시에 풀려면 문재인 정부에 많은 제약이 뒤따릅니다. 지금 보면 문재인 정부가 국내적으로 취임 초기보다 추동력을 상당히 많이 잃은 것 같고요. 저도 많이 생각하고 있지만 힘들 것 같아요. 현재 상황에서는….”

 

文정부, 취임 초기보다 추동력 잃어

단기간에 북·미 관계가 좋아지기 어렵다고 보시는 건가요.

“한동안 낙관했는데 하노이 회담이 결정적이었다고 보고 있어요. 지금 서로 메시지는 오가는 거 같은데 그게 얼마나 진척되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 악화일로를 걷는 중·미 관계까지 북·미 관계 전망을 흐리게 하고 있네요.”

지금 문재인 정부한테 조언의 말씀을 하신다면 무엇을 강조하시겠습니까.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사업 같은 것을 먼저 해결해야 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인도적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남북이 가까워질 수 있고 남북의 행동반경을 같이 넓힐 수 있는 확실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죠.”

2003년 한국에 오셨을 때, 우리 사회는 ‘광기의 공간’이었습니다.

“그렇지요. 그러나 지금도 그때 못지않은 것 같아요. 지난 대선 때 촛불혁명의 결과로 권력을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일종의 복수심에 사로잡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적폐청산 수사를 그만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주장도 있습니다.

“사회학적으로 보면 갈등과 통합은 늘 대비되는 게 아니에요. 갈등과 통합은 서로 묶여 있는 시스템이지 갈등 아니면 통합, 이렇게 진행되는 법이 없거든요. 갈등이 없으면 통합되고 통합이 없으면 갈등만 있다고 보는 것은 1차원적 사고예요. 통합을 실질적으로 제약하고 갈등을 증폭시켰던 그런 세력, 또는 그런 사건들을 정리하고 넘어가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