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보수언론 단골 한국인 “한·일 갈등은 한국의 오해 때문”
  •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 승인 2019.07.31 16: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징용자 차별 없었다” 주장해온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원
산케이 등 보수매체 수차례 인용

“역사를 과장, 왜곡하는 한국 지식인들의 무책임한 언동에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다.”

일본 극우성향 매체 산케이신문의 7월12일자 기사에 나오는 인터뷰이의 말이다. 이 사람은 한국의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식민지 근대화론’을 지지하는 학자 중 한명이다. 그는 “일제에 징용된 한국인은 임금 차별을 받지 않았다”고 역설해왔다. 이러한 주장은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도 이어졌다. 

7월12일 산케이신문에 실린 이우연 낙성대연구소 연구위원 인터뷰 기사 ⓒ 산케이신문 홈페이지 캡처
7월12일 산케이신문에 실린 이우연 낙성대연구소 연구위원(왼쪽 사진) 인터뷰 기사 ⓒ 산케이신문 홈페이지 캡처

“조선인 노동자의 저임금은 ‘완전한 거짓말’”

신문에 따르면, 이우연 연구위원은 한·일 관계가 나빠진 배경을 두고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이 일제 징용자에 대한 일본 기업의 배상을 명령했고, 문재인 정권이 이를 존중해 일본에 이행을 요구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사법부나 정부가 전쟁 중의 노무 동원을 ‘강제연행’과 ‘노예노동’으로 오해하면서 문제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계속해서 그는 “근본적 문제는 한국인의 역사 인식에 영향을 준 일부 연구자와 언론인,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의 왜곡된 역사관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들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무급 노동을 강요받거나 차별을 받고 일본인보다 낮은 임금밖에 못 받았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완전한 거짓말(全くの嘘だ)”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주장은 이 연구위원의 2016년 논문 ‘전시기 일본으로 동원된 조선인 탄·광부의 임금과 민족 간 격차’에 자세히 나와 있다. 논문에서 그는 “1939년 9월 이른바 ‘모집’ 이후 일본으로의 노무동원이 시작됐다. 많은 사람들이 그것은 ‘전시동원’이므로 임금은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무동원 개시 이래 1944년 10월부터 시작된 ‘징용’ 단계에서도 피동원자에게 임금이 지불됐다”고 했다.

그 근거로 이 연구위원이 인용한 자료 중 하나는 1944년 공개된 ‘국민징용 해설(國民徵用の解說)’이란 보고서다. 이를 펴낸 국민총력조선연맹은 일제강점기 말 조선총독부 차원에서 결성된 친일단체다. 이완용의 둘째 아들 이항구와 친일파 정교원 등이 요직을 맡았다. 이들은 징병과 징용을 독려하는 활동을 펼쳤다.

후지TV 운영 인터넷매체 ‘FNN 프라임’ 6월10일자 기사에 실린 이우영 연구위원 ⓒ FNN 프라임 캡처
후지TV 운영 인터넷매체 ‘FNN 프라임’ 6월10일자 기사에 실린 이우영 연구위원 ⓒ FNN 프라임 캡처

주장의 근거는 징용 독려한 친일단체 보고서

한편 이 연구위원은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청구권 협정에 대해 “한·일 관계의 원칙이며 지켜야 한다”고도 했다. 1965년 양국이 맺은 이 협정은 한국이 자금을 지원받는 조건으로 식민지배에 대한 배상을 포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때문에 ‘졸속 합의’란 비판이 지금도 제기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이 연구위원에 대해 “‘반일민족주의를 반대하는 모임’ 대표도 맡고 있다”고 소개했다. 해당 모임은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단체다. 이 연구위원은 “회원 수가 1000여명 쯤 되는 시민단체(월간조선 7월호)”라고 주장했다. 산케이신문은 “(이 연구위원은) 방해나 괴롭힘을 받고 있지만, 그는 ‘진실의 역사를 회복하고 한·일 우호 선린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7월2일 이 연구위원은 스위스 제네바 유엔 유럽본부에서도 “징용자에 대한 임금 차별은 없었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날 일본 민간단체 국제역사논쟁연구소가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이 연구위원은 “조선인 광부의 월급은 다른 직종의 조선인이나 일본인에 비해 높았다”고 발표했다. 또 “노예 노동이란 왜곡된 역사의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발언은 산케이신문과 그 산하 인터넷매체 ‘자크자크(ZAKZAK)’에 의해 인용됐다. 

보수성향 방송 후지TV도 이 연구위원을 조명한 적이 있다. 그는 6월10일 “역사 왜곡을 근거로 한 (징용 배상) 판결에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 해결책에 대해선 “한국이 처리해야 한다”며 “조선인 노동자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한국 정부는 제대로 조사 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일본 정부와 협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