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춘호 인터뷰②] “박정희, 욕심 앞섰기에 독재로 갔다”
  • 송창섭 기자 (realsong@sisajournal.com)
  • 승인 2019.08.28 14:00
  • 호수 155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30주년 특별기획 ] 대한민국, 길을 묻다 (28)
'민주화 투사' 예춘호 전 민추협 부의장

혼돈의 시대다. 혹자는 난세(亂世)라 부른다. 갈피를 못 잡고, 갈 길을 못 정한 채 방황하는, 우왕좌왕하는 시대다. 시사저널은 2019년 올해 창간 30주년을 맞았다. 특별기획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 등 각계 원로(元老) 30인의 ‘대한민국, 길을 묻다’ 인터뷰 기사를 연재한다. 연재 순서는 인터뷰한 시점에 맞춰 정해졌다.

(1)조정래 작가 (2)송월주 스님 (3)조순 전 부총리 (4)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5)손봉호 기아대책 이사장 (6)김원기 전 국회의장 (7)김성수 전 대한성공회 대주교 (8)박찬종 변호사 (9)윤후정 초대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10)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11)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 (12)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13)허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14)이종찬 전 국회의원 (15)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16)박관용 전 국회의장 (17)송기인 신부 (18)차일석 전 서울시 부시장 (19)임권택 감독 (20)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21)이문열 작가 (22)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 (23)역사학자 이이화 선생 (24)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 (25)강상중 도쿄대 명예교수 (26)손숙 예술의전당 이사장 (27)한승헌 변호사 (28)예춘호 전 민추협 부의장

예춘호 전 부의장은 5·16군사정변 직후 군사정부가 만든 관 주도 성격의 국민운동인 ‘재건국민운동’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발을 들여놓는다. 당시 혁명정부는 명망이 높은 대학교수 중심의 지식인들을 통해 세대교체를 꿈꿨다. 그 선두에 예 전 부의장이 있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4년 공화당을 창당하면서 당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사무총장에 37세의 예 전 부의장을 선임했다. 시작은 화려했다. 하지만 그의 굳은 결기를 담기에 공화당이라는 그릇은 너무 작았다. 훗날 예 전 부의장은 박정희 정권이 유신을 선포하자 자신이 직접 평전(《정구영평전》 2012년, 서울문화사 펴냄)을 쓴 정구영 전 의원과 함께 당을 뛰쳐나갔다.

이후의 삶은 고난의 연속이다. 하지만 그의 발자취는 우리 민주화 역사에 오롯이 남아 있다. 1984년 5월18일 출범한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는 예 전 부의장의 주도로 설립됐다. 동교동(DJ)계와 상도동(YS)계를 한데 합친 민주진영의 중심축이었던 민추협은 훗날 민주화운동의 산실로 발전했다. 민추협을 만들어 민주진영의 단일화를 만들어내자는 아이디어 자체가 1984년 4월26일 예 전 부의장 자택에서 가진 모임에서 나온 것이다.

예춘호 의원(왼쪽 두 번째) 등 무소속 의원 8명이 1979년 6월4일 김영삼 신민당 총재(오른쪽 두 번째)를 만나 신민당 일괄 입당을 협의했다. ⓒ 연합뉴스
예춘호 의원(왼쪽 두 번째) 등 무소속 의원 8명이 1979년 6월4일 김영삼 신민당 총재(오른쪽 두 번째)를 만나 신민당 일괄 입당을 협의했다. ⓒ 연합뉴스

앞에서도 말씀하셨지만 정치를 공화당에서 시작하셨습니다.

“누군가 연구는 해야 합니다만, 공화당은 당시 굉장히 선진화된 정당이었어요. 사무국 중심의 근대 정당 시작이 바로 공화당이었지. 공화당이 생기면서 비로소 당·청 관계라는 게 생겨났다고 봐야 해요.”

창당에 참여하시게 된 계기가 있으신가요.

“다른 사람들은 내가 처음 정치에 들어갔을 때 군 출신이라고 봤나봐요. 당시 난 부산, 경남조직에서 선발됐는데, 난 사실 젊을 때 좌파였어요.”

그 전까지 대학에 계셨다 들었습니다.

“맞아요. 동아대, 수산대에서 강사로 있었지. 장래가 다 보장돼 있었는데…. 당시 공화당 창당에는 정보부(중앙정보부)가 많은 역할을 했지요. 김종필이라는 사람이 보통이 아니거든.”

공화당으로 정치활동을 시작하셨으면서도 3선 개헌 반대로 박정희 대통령과는 정치적 이별을 하셨군요.

“처음 정치를 시작할 때만 해도 박정희 대통령이 날 참 좋아했어요. 나도 그분을 참 많이 따랐고. 처음만 해도 그분은 참 애국자였어요. 참 똑똑했고. 만주군관학교에서 우수한 생도들이 일본사관학교로 가는 건데, 그걸 갖고 요즘 젊은 사람들이 친일파라고 보는 건 잘못된 생각이에요. 해방될 때가 내 나이 스무 살이었어요. 지금 정치하는 사람들 중에 왜정(일제강점기) 때부터 살던 사람이 없잖아요. 박 대통령이 4·19 때 부산에서 군수기지사령관으로 있었던 거 아나요. 그때 부산에서 학생들이 시위를 했는데 박 대통령은 학생 편을 들었어요. 정말 근면하고 물욕이 없는 그런 사람이었지.”

기억나시는 박정희 대통령과의 일화가 있으신가요.

“그때 내가 사무총장이니까, 정구영 선생(공화당 초대 총재)하고 수시로 청와대에 들어갔어요. 자기가 필요하다 싶으면 전화를 걸어 ‘청와대 좀 들러라’라고 했지요. 당시만 해도 청와대는 조그마한 집에 불과했어요. 대통령 집무실도 별로 크지도 않고. 그게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총독부 시절 총독이 살던 집이었으니까.”

그랬던 대통령이 왜 독재의 길로 간 걸까요.

“욕심이 앞섰던 거지. 박정희 대통령은 재선 때까지도 소박했어요. 국가를 위한 마음도 크셨고. 국회 상공위원장이 돼 2년 만에 청와대엘 가보니 음식이 달라졌더라고요. 처음엔 비빔밥이나 칼국수를 먹었는데, 나중에 가보니 요리가 나왔지요. 안가라는 것도 나오기 시작했고.”

한·일 관계가 많이 나쁩니다. 과거 공화당 정부 시절과 비교한다면 어떤 생각이 드시는지요.

“문재인 대통령이 잘못하는 거 같아요. 박정희 대통령은 참 꼼꼼했거든. 국교 정상화를 하면서 일본으로부터 6억 달러를 받았는데, 그게 당시 일본이 갖고 있던 보유 달러의 절반에 가까웠어요. 큰돈이었지. 그게 오늘날 우리 경제를 만든 거예요. 포철(현 포스코)도 박태준이가 만든 걸로 아는데, 사실 정보부에서 2년 동안 준비한 겁니다. 민주당 정부 때도 그걸(포스코) 만들려고 했는데 안 됐거든요. 그런 면에서 김종필이 천잽니다. 2년 동안 중앙정보부장 일을 하면서 자유당이 왜 실패했는지 다 분석했거든요. 그걸 토대로 이런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 겁니다. 그게 공화당이에요.”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