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 ‘안전불감증’ 꼬리표 따라다니는 이유
  • 송응철 기자 (sec@sisajournal.com)
  • 승인 2020.01.09 09:00
  • 호수 157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끊이지 않는 사고에 “원가 절감 연연” “책임지지 않는 문화” 지적

포스코에는 늘 ‘안전불감증’이라는 불편한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그동안 제철소 등 사업장에서 크고 작은 사고들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고가 날 때마다 포스코는 재발 방지 약속을 했다. 그러나 반복되는 안전사고에 포스코의 약속은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을 받는다.

가장 최근 사고는 지난해 12월24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폐열발전 축열설비에서 발생한 대형 폭발이다. 폭발물 잔해가 인근 해안가까지 날아갈 만큼 폭발 규모가 컸다. 이 사고로 직원 5명이 중경상을 입고 병원으로 긴급 후송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2월24일 폭발 사고가 발생한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공장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12월24일 폭발 사고가 발생한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공장의 모습 ⓒ연합뉴스

 

문제는 그동안 이런 사고가 되풀이돼 왔다는 데 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광양제철소에서만 3번, 포항까지 합하면 5번의 폭발 및 화재사고가 발생했다. 7월에는 불꽃과 검은 연기를 발생시킨 정전사고로 주민들의 불안을 초래하기도 했다.

사고엔 인명 피해가 동반됐다. 이 때문에 포스코는 2018년 노동계가 선정하는 ‘최악의 살인기업’ 공동 3위(산재 사망자 5명)에 선정됐다. 또 지난해에는 사망자 수 공동 1위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고용노동부가 작년 12월31일 발표한 ‘사망 재해·산재 은폐 등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포스코 사업장에서 근로자 4명이 사망했다.

포스코 내부에서는 계속되는 사고의 주된 원인을 ‘원가 절감’에서 찾았다. 글로벌 경기 불황의 여파로 수익성에 위기가 오자 원가 절감에 주력해 환경이나 안전에 대한 비용 투자에 인색하다는 지적이다. 또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 점도 끊이지 않는 사고의 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노총 포스코지회 관계자는 “계속해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 정기인사에서도 안전사고 관련 책임자를 유임시키는 등 누구도 산업재해에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