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논의하자”는 미국 손 뿌리친 중국의 속셈
  • 김회권 기자 (judge003@sisapress.com)
  • 승인 2012.06.12 01:2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년 전인 2011년 6월, 베트남 하노이와 호치민에서는 ‘반중국 시위’가 펼쳐졌다. 남중국해의 영유권 문제 때문이었다. 5월 말, 베트남 중남부 해안에서 약 1백20㎞, 중국 하이난 섬에서 남쪽으로 약 6백㎞ 떨어진 지점에서 베트남 탐사선이 해저 자원 조사를 실시했는데, 중국의 감시선이 활동을 방해하면서 충돌이 시작되었다. 중국과의 충돌이 발생한 직후 베트남 해군은 남중국해에서 실탄 훈련을 실시했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 이후 처음으로 ‘징병령’까지 시행하며 중국에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는 자세를 보였다.

필리핀도 비슷한 문제에 직면했다. 올해 3월 필리핀 석유 탐사선이 중국의 감시선으로부터 방해를 받았다. 게다가 중국이 영토 갈등을 빚고 있는 남사군도 일부 섬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군사 시설을 만들자 필리핀 국민의 반발이 극에 달하고 있다. 베트남과 필리핀의 군사력은 중국에 비교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이 중국에 반발할 수 있는 것은 미국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아세안(ASEAN) 국가의 등 뒤에는 미국이라는 큰형이 서 있다.

2010년 7월 아세안 지역 포럼(ARF)에 참석한 클린턴 국무장관은 “남중국해 항해의 자유는 미국의 국익이다”라고 말했다. 남중국해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국에게 강한 직구로 승부했다. 이후 미국은 함대를 이끌고 베트남·필리핀과 잇따라 합동 훈련을 가졌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베트남·필리핀과의 연계를 강화하면서 동시에 일본·한국·타이완과 연결해 대중국 포위망을 강화하는 것이 미국의 주요 전략이었다.

미국이 중국을 무작정 몰아붙인 것은 아니다. 대화의 제스처를 먼저 보인 쪽은 미국이었다. 2011년 6월7일 천빙더 중국 인민군 총참모장은 홍콩 상보와의 인터뷰에서 “5월에 미국 정부에서 외무장관-국방장관 수준의 2 대 2 협의에 대한 제안이 있었지만 거절했다”라고 밝혔다. 미국이 2 대 2 협의를 통해 미·중 안보 대화를 최상위 논의 자리로 ‘격상’하려 시도했지만 중국이 단호하게 거절한 셈이었다. 더는 미국과 군사 교류를 하고 싶지 않다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강한 의사 표시였던 것이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미국과 중국의 남중국해·서해에서의 갈등은 쉽게 꺼지지 않는 불씨인 것이 분명하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