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대치·청담·잠실’ 집 잘못 샀다간 최대 징역 2년
  • 이혜영 객원기자 (applekroop@naver.com)
  • 승인 2020.06.23 12:1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3일부터 토지거래허가제 시행…국토부, 가이드라인 제시
지분쪼개기 안 되고 다가구 일부임대 허용…분양 주택은 전세 내 놔도 돼
유주택자는 주택 매입 시 기존 주택 처분 여부와 거주 사유 밝혀야
전방위 부동산 규제를 담은 12·16 대책이 발표되면서 시장이 큰 혼란에 휩싸였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제2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 시사저널 고성준
서울 송파구 제2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전경 ⓒ 시사저널 고성준

앞으로 1년 동안 서울 강남구의 삼성·대치·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에서 주택을 거래하려면 사전에 관할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23일부터 해당 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제도를 1년간 시행한다고 밝혔다. 부동산의 토지면적이 주거지역에서 18㎡, 상업지역에선 20㎡를 넘기면 주택 거래 전 반드시 허가를 받아야 한다. 

만일 해당 지역에서 허가 받지 않은 거래를 하다 적발될 경우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토지가격의 30%에 상당하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또 구매자는 사전에 밝힌 구입 목적대로 부동산을 이용해야 한다. 주택을 사면 2년간 실거주해야 하며, 상가를 구입하면 직접 상업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가구·다세대는 집주인이 거주하는 경우에 한해 일부 임대가 허용된다. 

부부가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가 다른 부부에게 각각 매도하는 경우는 한사람의 계약으로 합산 계산돼 허가 대상이 될 수 있다. 이곳에 주택을 분양받은 경우는 제도 적용을 받지 않는다.

국토부는 이날 제도 시행에 맞춰 제도와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시사저널 박정훈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시사저널 박정훈

기존 세입자 있어도 등기 전에 나가면 OK

주거용 토지는 2년간 '실제 거주용'으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구입하는 주택에 임대차 계약 기간이 남아 있다면 원칙적으로 토지거래계약허가를 받을 수 없다. 이는 전세 보증금을 끼고 주택을 구입하는 갭투자를 막기 위한 조치다.

다만 허가를 받더라도 잔금을 치르고 등기하기 전까지는 통상 2~3개월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 등기 전에 기존 임대차 계약이 끝나면 예외적으로 허가를 받을 수 있다.

허가를 신청할 때 토지이용계획서에 작성한 잔금 납부일이 통상적인 계약 관행 수준 내(2~3개월)에 있고, 잔금 납부일까지 임대차 계약이 끝난다는 사실을 구청에 객관적으로 소명하면 허가를 받을 수 있다.

분양주택은 전세 주는 것 가능

허가구역 내에서 신규로 주택을 분양받는 수분양자는 2년간 실거주할 의무가 없으므로, 자유롭게 전세로 내놓을 수 있다. 주택법령에 따라 주택 사업 주체가 주택을 공급하는 경우 등은 토지거래허가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유주택자는 기존 주택 매매·임대 계획 밝혀야

주택을 이미 보유한 경우에도 신규 주택 취득 목적으로 토지거래계약허가를 신청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 거주해야 할 사유와 주택을 추가로 구입해야 하는 사유를 구체적으로 소명해야 한다.

허가구역이 속해 있는 시·군 또는 이와 연접한 시·군에 거주하는 매수자가 주택을 이미 보유한 경우에는 기존 주택을 팔거나 임대 할지를 밝혀야 한다.

예를 들어 경기도 성남에 주택을 가진 사람이 송파구 잠실동 등 허가구역 내 신규주택을 사려는 경우 기존 주택의 매매 또는 임대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상가 및 다가구·다세대 일부 임대 가능

제1·2종 근린생활시설도 구입 후 일정 공간을 직접 이용하면 나머지 공간을 임대할 수 있다. 꼬마빌딩을 산 건물주가 모든 층을 직접 상업용으로 쓰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도 건축물을 취득해 실제로 이용하는 사람이 해당 건축물의 일부를 임대할 수 있도록 '자기경영' 원칙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단, 신청인이 자기경영을 하는 공간과 임대하려는 공간은 구분 소유 등으로 분리돼 있어야 한다. 또 허가 신청을 할 때 토지이용계획서에 구체적인 임대계획을 밝혀야 한다.

단독 주택이나 공동주택에 실제 거주하는 경우라면 직접 이용하지 않는 일부 공간에 대해서는 임대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독주택에서 일부 방을 쪼개 임대하거나, 다가구나 다세대 주택에서 집주인이 살면서 나머지 집을 세 놓을 수 있다는 뜻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건축법 시행령 등에서도 단독과 공동주택에서 건물의 일부 임대가 가능하도록 자가거주 원칙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주택 전체를 임대하면서 일부 임대를 가장하는 등 제도를 악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이용실태 조사 등을 통해 이용 의무 준수 여부를 철저히 단속할 방침이다.

오피스텔 거래도 허가 대상

오피스텔도 대지지분면적이 허가 기준면적(상업지역 20㎡ 등)을 초과한다면 토지거래허가를 받아야 한다. 오피스텔의 이용목적을 토지이용계획서에 명시해야 하며, 허가받은 이후에는 2년간 자기거주 또는 자기경영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부부·가족이 지분으로 부동산 사고 팔면 합산 처리

부부와 가족 등 세대 구성원이 공유지분을 각각 취득하는 경우에는 동일인의 취득으로 간주한다. 이때 취득한 공유지분 면적 전체를 합산해 허가대상 면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지면적이 30㎡인 아파트를 부부가 15㎡씩 공동명의로 소유하고 있다가 이를 다른 부부에게 배우자별로 15㎡씩 매도한다고 했을 때, 지분면적을 합해 18㎡를 초과한 30㎡를 거래한 것으로 보기에 토지거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갭투자 규제를 핵심 내용으로 한 문재인 정부 21번째 부동산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 시사저널 최준필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7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갭투자 규제를 핵심 내용으로 한 문재인 정부 21번째 부동산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 시사저널 최준필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