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 튼 남북대화 첫 단계는 ‘화상회의’…“장비는 각자 구축”
  • 서지민 디지털팀 기자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21.07.29 15: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의할 의제는 아직 미정…“시스템 구축 후 의제 정리할 것”
4월27일 남북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반송 식수 후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있는 ‘도보다리’까지 산책을 하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 한국공동사진기자단
2018년 4월27일 남북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반송 식수 후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있는 ‘도보다리’까지 산책을 하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남북이 13개월 만에 통신선을 복원한 가운데, 우선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코로나19로 대면 회담이 제한적인 상황을 감안한 것이다.

29일 통일부 당국자는 취재진들에게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에 따라 화상회의 시스템이나 대면으로 회담을 하더라도 안전하게 추진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협의를 진행해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남북이 생각하는 화상회의 방식은 우선 남북이 각자 영상회의 장비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북측의 화상회담장 설치에 우리 정부가 별도로 예산을 확보해 지원하는 등의 계획은 지금으로서는 없다”고 설명했다.

남북간 화상회의가 열린다면, 기존에 구축한 남북 통신회선의 일부를 남북이 각각 자기 측 영상회의 장비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런 방식이라면 별도의 케이블 설치 등의 추가 공사는 불필요하다.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이후 논의할 의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존에 이미 남북이 합의한 내용, 우선적으로 논의가 필요한 사안, 시급하게 해결돼야 할 문제 등을 중심으로 의제를 정리하고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로이터통신은 지난해 북한이 폭파한 개성 내 연락사무소를 재건설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친서교환 과정에서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상회담 추진 보도에 대해서도 청와대는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번 남북 통신선 복원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 교환에 따른 결과다. 지난 27일 오전 서해지구 군통신선, 남북연락사무소 서울사무실을 시작으로 이날 오전 동해지구 통신선도 완전 복구됐다. 이에 남북 군 통신선은 모두 정상적으로 가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7월27일 13개월 만에 남북 통신선이 복구되면서, 군 관계자가 서해지구 통신선을 활용해 북한과 시범 통화를 하고 있다. ⓒ국방부
7월27일 13개월 만에 남북 통신선이 복구되면서, 군 관계자가 서해지구 통신선을 활용해 북한과 시범 통화를 하고 있다. ⓒ국방부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