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 인터뷰] “李는 ‘신뢰’, 尹은 ‘대안’ 부족…‘대한민국 정상화’가 비전 돼야”
  • 김종일·이원석 기자 (idea@sisajournal.com)
  • 승인 2022.01.01 10:00
  • 호수 168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년 인터뷰]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①
“사회 갈등 해소·확고한 외교 노선 확립·미래 비전 제시 필요”
“李, 국민에게 신뢰 줘야…尹 경청하며 감언이설 골라내야”
“김건희 사과 늦었다…뒤에 숨지 말고 국민 속에 있어야”

“차기 대통령에게는 새로운 비전이 필요가 없다. 앞으로의 5년은 분열된 대한민국을 정상 복원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그것만으로도 숨 가쁘다. 그리고 모두가 아는 위기인 인구절벽 문제와 연금 개혁이란 난제를 해결해야 한다. 미뤄둔 이 과제들을 해결하지 못하면 대한민국호는 침몰한다.”

이종찬 전 국정원장은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과 의미를 이렇게 바라보고 있었다. 그는 소용돌이쳤던 격동의 대한민국 현대사의 한복판을 가로질러온 인물이다. 대전환의 시대적 흐름을 면밀히 읽으면서도 구시대의 낡은 사고와 관행에 휘둘리지 않을 중도적 실용주의자로 통한다. 시사저널은 2022년 신년의 무거운 울림을 전달하기 위해 이종찬 전 원장을 찾았다.

그는 인터뷰에서 시종일관 ‘통합’과 ‘갈등 해결’을 강조했다. 이재명·윤석열 두 양강 대선후보를 향해서는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독립운동가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로도 잘 알려진 그는 김대중 정부 초대 국정원장을 끝으로 현역 정치에서 물러났지만 여전히 날카로운 정치적 감각을 유지하고 있었다.

ⓒ시사저널 최준필
ⓒ시사저널 최준필

차기 대통령의 가장 큰 과제는 무엇일까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사회적 갈등 해소, 국제적 갈등 해소,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입니다.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당선되더라도 이 세 가지를 해낼 수 있어야만 나라가 안정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씩 밝혀주신다면요.

“대한민국 수립 이후 오늘처럼 사회가 갈라진 때가 일찍이 없었습니다. 해방 이후에는 친공과 반공,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있었고, 3공화국과 5공화국 시절엔 독재와 반독재 갈등이 있었지만, 그때는 건국·성장 등의 가치에 대한 일체감이 있었습니다. 지금처럼 이념·세대·지역·양극화 같은 갈등이 다층적으로 쌓여 심화됐던 적은 없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5년 동안 이 갈등들을 해소하지 않고 오히려 심화시켰습니다. 누가 대통령이 돼도 이 갈등들을 해소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이 갈라지게 생겼습니다. 차기 정부의 제일 큰 과제는 갈등 해소입니다.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자세로 가야 합니다. 제일 강조하고 싶습니다.”

다른 과제는 무엇입니까.

“확고한 외교 노선을 확립해 나가는 것입니다. 우리는 국제적으로 4강(미·중·일·러)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무엇보다 미·중은 지금 신(新)냉전시대에 돌입했습니다. 우리가 균형자·중재자 역할을 하기엔 너무 힘에 부칩니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헌법에 명시된 자유민주적 가치를 바탕으로 흔들리지 않게 정당한 목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주변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저자세 외교나 눈치 외교로는 안 됩니다.”

마지막 과제도 말씀해 주시죠.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올라타야 합니다. 전 세계가 과학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무한경쟁을 펼치고 있는 이 엄중한 상황에서 우리가 재도약의 길로 가는 길을 제시해야 합니다. 이 도전을 넘지 못하면 대한민국호가 침몰할 수 있다는 절박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지도자라면 대한민국호가 후퇴하지 않고 전진할 수 있다는 비전과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야 합니다.”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5월2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 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재명 후보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이재명 후보는 국민에게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러 공약이 불안합니다. 최근엔 불안함을 감춰보고자 ‘이재명은 합니다’를 ‘안 합니다’로 바꾸고 있습니다. 지도자라면 본인에게 불리해도 ‘이건 죽어도 지킨다’는 자세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모습이 없습니다. 아침에 한 말과 저녁에 하는 말이 다릅니다. 이런 대선후보를 일찍이 본 적이 없습니다. 이건 지도자로서 굉장한 흠결입니다. 무신불립(無信不立)이란 말처럼 신뢰를 잃으면 어떤 공약도 헛것이 됩니다. 현란한 말로는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심판을 받게 됩니다.”

윤석열 후보는 어떻습니까.

“윤석열 후보는 미숙한 모습입니다. 대통령이 돼서 대한민국을 제대로 원위치에 복원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60%가 넘던 정권교체에 대한 여론이 점점 내려오고 있습니다. 압도적 분위기를 계속 끌고 가지 못했습니다. 준비가 너무 부족했습니다. 검찰 생활만 했지 국가 지도자로서 해야 할 일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던 거죠. ‘이건 아니다’라는 반(反)문재인 이야기 하나만 하는데, 그럼 ‘대안은 무엇이냐’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역시도 마찬가지로 지도자로선 큰 흠결입니다.”

두 후보에게 ‘이것만큼은 꼭 해라’ 혹은 ‘하지 말라’를 주문하신다면요.

“이 후보는 이미 말한 것처럼 국민에게 믿음을 줘야 합니다. 이게 기본입니다. 무엇보다 정직해야 합니다. 그는 흙수저 출신이라 거칠게 살아왔고, 거친 생채기가 있고, 거친 표현이 있다고 하는데 지금 국민이 제기하는 많은 도덕성 논란은 그냥 넘어갈 문제들이 아닙니다. 미국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도 흙수저로 태어났는데 정직한 태도와 자세로 통합의 대통령이 됐습니다. 이 후보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잘못했고, 이제부터는 앞으로 그런 것들을 절대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야 합니다. 신뢰와 직결되는 문젭니다.” 

윤 후보에게 당부할 것은 무엇입니까. 

“윤 후보는 검찰에서 활동하면서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고 조직에 충성한다’는 소신을 보였습니다. 이런 집념으로 불공정하고 몰상식한 사회와 싸우는 것에 국민이 박수를 보냈습니다. 이제는 ‘어떤 방법으로 나라를 다시 정상화시키겠냐’는 질문에 대안을 제시해 줘야 합니다. 또 더 많은 사람의 말을 경청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이 정직한 충언이고, 무엇이 아첨인지 가려낼 수 있어야 합니다. 사람을 잘 쓴다는 말은 결국 감언이설을 잘 가려낸다는 뜻입니다.” 

이번 윤 후보의 배우자 검건희씨의 사과는 어떻게 보셨습니까.

“사과가 늦었습니다. 더 빨리 했어야 했죠. 논란의 핵심은 학력 콤플렉스입니다. 그래서 학력과 경력을 과장해 잘 보이려 했습니다. 공정의 상징인 ‘검사 윤석열’의 잣대로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허위조작입니다. 국민에게 진정성 있게 용서를 구해야 마땅합니다. (김씨는) 이제는 활동하면서 자연스럽게 국민과 더불어 같이 어울려야 합니다.”

윤 후보 측에선 대선 때까지 ‘부인의 등판은 없다’는 분위기인데요. 

“국민 속에 있어야 합니다. 반성하겠다고 뒤에서 고고하게 있는 것은 국민이 바라는 모습이 아닙니다. 나와야 합니다. 국민이 지금 무엇에 고통을 받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에 만족하는지 등과 같은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후보에게 전달할 의무가 있습니다.”

언론의 검증과 함께 민주당의 공세도 계속될 텐데요.

“그럼에도 당당한 모습이 낫습니다. 나와야 한다고 봅니다.”

■ 이종찬은 누구인가?
1936년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가인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다. 경기고를 거쳐 육사(16기)를 졸업했다. 1965년 공채 수석으로 중앙정보부에 들어갔다. 중앙정보부 총무국장,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서울 종로 지역구에서 4선 의원을 지냈다. 1992년 14대 대선에 출마했다가 사퇴했다. 국가안전기획부의 마지막 부장을 지냈고, 김대중 정부에서 만들어진 국정원의 초대 원장을 맡았다. 현재는 우당이회영교육문화재단 이사장과 ‘국립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이종찬 인터뷰] ② 「“차기 대통령이 인구·연금 문제 못 풀면 대한민국호 침몰”」 기사가 계속됩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