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뼈아픈 불명예 ‘전국 최고’ 공실률…“말뿐인 상가 활성화 대책”
  • 서중권 충청본부 기자 (sisa410@sisajournal.com)
  • 승인 2022.01.03 15:2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랜드마크 복합상가마저 통째 매각 ‘충격’
대형 상가 줄도산 위기…“겉으론 어르고 뺨때려”
세종시 초대형 상가, ‘엠브릿지’가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한 채 통째 매각절차를 밟고 있다. ⓒ시사저널 서중권

세종시 소상공인들이 또 한 번 충격에 빠졌다. ‘세종 엠브릿지’가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통매각 절차를 밟고 있어서다. 지금 세종시는 대형 상가 줄도산 위기라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세종시 초대형 상가 ‘엠브릿지’는 방축천 특화상가로 어진동 ‘어반아트리움’과 함께 세종시 최고의 상권으로 손꼽히는 랜드마크다. 개업 1년 반 만에 무너졌다.

그동안 ‘상가 활성화 대책’에 대한 탁상공론 행정을 되돌아봐야 한다는 책임론과 함께 절실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지역 내에서 커지고 있다. 특히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제안 공모를 내세운 ‘특화설계’ 배경을 주시하고 있다.

신도시(행복도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앞에 들어선 세종 엠브릿지는 2500여억원을 들여 지은 중심 상가다. 171개 점포가 지난해 12월 일괄매각에 나왔고, 최초 공매 매각 금액은 2433억원이다. 부동산 업계는 “세종시 텅 빈 상가의 절망 속에 초대형 상가의 통째 매각은 충격적이다. 특화상가의 몰락은 세종시 성장에 큰 걸림돌로 작용 될 것”을 예고했다.

방축전 특화상가 엠브릿지 통매각 여파는 가뜩이나 침체일로에 있는 나성동 특화상가 ‘어반아트리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있다. 소상공인들의 텅 빈 상가에서부터 대형 특화상가까지 상공인들의 ‘무덤’이 된 세종상가는 ‘전국 최고 공실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해 부동산 전문가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여파를 그 원인으로 들고 있다. 하지만 상가의 획일적인 입점규제와 복잡한 건물구조, 이동 불편, 쇼핑 매장의 기획 실패 등을 꼽는 지적도 제기된다. 나아가 행복청-LH의 영혼 없는 상업용지 공급대책과 사업제안 공모를 통한 ‘특화설계’의 거품 등 총체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행복청-LH의 위법·부당 행위로 인한 직·간접적 부적절한 영향이 세종시 신도시(행복도시) 건설을 뿌리째 뒤흔든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감사원은 지난 2019년 말 행복청이 53회의 도시개발 계획을 변경하면서 주택용지와 의료, 주차장 용지를 줄이는 등 위법·부당한 절차를 질책했다. 특히 주택용지의 경우 266만㎡(80만 평)를 대폭 축소하고 상업용지로 변경한 것을 밝혀내기도 했다.

주택용지가 부족해 택지를 더 공급해야 하는데도 주택용지 전체의 17%를 줄이고 상업용지를 늘린 결과의 대가는 엄청났다. 상가부지 과잉공급과 고분양가 등 상가 공실률을 부추긴 주요인으로 지적됐다.

상가는 휴·폐업이 속출하면서 세종시 소상공인들의 ‘무덤’이 됐다, ‘유령상가’ 신조어가 나돌고, 관계 기관은 흉흉해진 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지난 2019년 6월 행복청·LH·세종시 등 3개 기관은 ‘상가 활성화 대책’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상업용지 억제 및 상가 공급조절, 소상공인 지원 등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그나마 뒷북친 ‘상가 활성화 대책’은 상공인들의 기대는커녕 ‘어르고 뺨 때린’ 모순된 행정을 드러냈다. 상가 대책과 관련해 ‘공실 상가 전수조사’를 벌이는 기간에도 상업용지를 늘린 것이다.

행복청 등 3개 기관이 상가 공실률 전수조사를 벌이는 기간에도 상업용지를 대폭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시사저널 서중권

3개 기관은 지난 2018년 6월부터 ‘상가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하지만 3개월 뒤인 그해 10월 세종시 4-1생활권 단독주택용지 4개 블록이 3배가량 늘어난 것이 들통났다. 더 큰 문제는 설계변경까지 하면서 상업용지로 변경된 사실을 감추려 한 의혹이다. 늘어난 부지 규모와 설계변경에 따른 예산증액 등에 대해서는 ‘영업비밀’을 빌미로 비공개하고 있다.

세종시와 행복청·LH 등 3개 기관이 합동으로 상가 활성화 TF를 꾸려 지역상권 살리기에 나선 것은 지난 2019년부터다. 하지만 상가 공실률은 오히려 증가하고 대형 상가 붕괴 위기마저 감돌고 있다. 일각에서는 “3개 기관의 상가 공실 대책이 전시행정의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영혼 없는 행정은 결국 전국 최고 상가 공실률의 오명을 자초했다”며 관계 기관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 좀 더 적극적인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 시민의 관심과 애정 어린 손길 또한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