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남은 세종 ‘르네상스’ 의 꿈…“빈약한 콘텐츠 등에 기대 사라져” 불만도
  • 서중권 충청본부 기자 (sisa410@sisajournal.com)
  • 승인 2022.04.04 17:0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혈세 낭비” 비판 거세…“문화생태계 축적 여건 미숙” 지적도
세종시 “다양한 문화 플랫폼 구축에 기여” 입장
지난해 준공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조치원 옛 ’청자장‘ 목욕탕 ⓒ세종시청

문화사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추진된 세종형 ‘문화벨트’의 지속 가능한 사업수행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사업에 참여했던 문화계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세종 신도시건설(행복도시)의 변곡점 시기를 맞은 때는 3년 전, 세종 신도시 건설의 반환점이다. 이 시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이 맡았던 건축물 승인 권한 업무 등이 세종시로 이관됐고, 이어 행복청-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관했던 1∼3생활권도 넘어왔다. 이춘희 세종시장 민선 2기, 출범 5년 차에 도시관리·계획 등 전권이 시로 넘어온 셈이다.

이 무렵에 이 시장이 야심찬 구상을 내놨다. 문화 재생사업으로 조치원 ‘문화정원’ ‘청자장 여관’ ‘한림제지 폐공장’ 등을 연계한 ‘문화벨트’ 조성이다.

이 같은 구상이 발표되자 문화생태계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세종시 환경에서 시민들은 ‘세종형 르네상스‘를 맞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부풀었었다.

하지만 졸속행정의 문제점이 곳곳에서 드러났다. 빈약한 문화 콘텐츠, 조성과정에서의 추진단과 행정·거버넌스 등 불협화음과 마찰 등이 지적됐다. 전문가는 ”수백억 들인 문화공간이 자칫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시사저널은 이와 관련한 심층 취재를 통해 ’숱한 의문투성이‘의 문제점을 수차례 지적한 바 있다. 별다른 이용 가치 없는 폐공장을 70억원에 사들인 땅 매입비와 착공도 전에 이미 써버린 운영비 10억원 등을 보도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행정절차에서도 각종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내용들이 더 불거지고 있다.

사업비 161억원 대부분은 시민 혈세다. 이를 방만하게 집행한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본래 목적이 무엇이냐는 본질적 논란이 대두되는 상황을 맞고 있다. 공연·전시장 내 들어선 일반음식점(1층)과 커피숍(2층) 입점과 관련해서도 뒷말이 무성하다. 더구나 이 음식점은 외지업체가 선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원룸 등 다닥다닥 붙은 주택가 골목에 들어선 문화거점 공간(흰 둥근 쪽), 공연장 내 2층 건축물에 일반음식점(1층)과 커피숍(2층) 입점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시사저널 서중권

건축물 조성과정에서 2000만원 이하 수의계약 대부분을 외지업체에 밀어준 것으로 드러났다. 5억6000만원이 들어간 ’학사동 복원 사업‘의 경우 4억6000만원 본 공사(일반입찰)를 비롯해 설계, 감리, 심지어 수리보고서 작성용역까지 외지업체가 맡았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이미 지출된 9억2000만원 프로그램 운영도 수의계약으로 체결됐다.

시민들은 ”문화공간의 빌미로, 시민 혈세가 외지업체 나눠 먹기 일색이다. 외지인의 음식점 운영 등 현지 시민들을 위한 행정은 찾아볼 수 없다. 시민들은 교통난과 소음 등으로 평생을 시달릴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옛 ’청자장‘ 목욕탕은 건물 매입비 32억원에 사들여 리모델링까지 총 61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같은 해 준공식을 했던 조치원 평리 ’문화정원‘ 옛 정수장 사업은 55억원을 들여 문화 체험공간으로 리모델링 했다.

이곳 역시 특색 없는 콘텐츠개발 빈약 등의 문제점이 불거지며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지적됐다. 착공 이전에 지출한 프로그램 운영비는 한림제지와 같은 패턴이다. 각각 수억원씩 쓰는 돈 잔치에 불과했다는 따가운 시선이다.

이렇듯 애초 거창하게 구상했던 ’문화재생‘ 구상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세종형 ’르네상스‘의 꿈이 무산되고 혈세만 낭비한 것 아니냐는 뼈아픈 지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세종시 관계자는 “지역의 문화재생, 사회혁신, 창조 등 전국화의 발판 마련으로 문화사업 플렛폼 구체화에 기여 하는 등 나름의 변화를 가져욌다”는 설명이다.

반면, 해당 사업을 진행한 한 전문가는 “현재까지 진행된 것을 보면 단발적인 사업에 불과했다. 지속 가능한 사업이 아니어서 문화의 노하우 및 역량 축적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진행 과정에서 건축가와 추진단, 행정당국 등 실시설계에서 공유 및 의견수렴이 단절돼 졸속행정이 이뤄져 아쉽다”고 말한 뒤 “사업의 연속성을 갖기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