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드러낸 불평등…“증상 있어도 일한 비정규직, 정규직 2배”
  • 박선우 객원기자 (capote1992@naver.com)
  • 승인 2022.04.20 14: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장인 2000명 대상 조사…“확진 및 격리시 비정규직 불이익이 더 커”
추석 연휴가 끝나자마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폭증한 9월24일 오전 마스크를 쓴 출근길 시민들이 지하철 2호선 시청역을 지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434명 늘어 누적 29만5132명이라고 밝혔다. ⓒ 연합뉴스
지난해 9월24일 오전 마스크를 쓴 출근길 시민들이 지하철 2호선 시청역을 지나고 있다. ⓒ 연합뉴스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에서도 쉬지 못한 채 계속 일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율이 정규직 노동자의 2배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은 20일 유튜브에서 직장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조사 결과 발표회를 개최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엠브레인퍼블릭 측에 의뢰해 지난달 24일부터 31일까지 시행됐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음에도 업무를 계속했다고 답한 비율은 비정규직이 43.7%, 정규직이 23.4%였다.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가족이 감염돼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은 비율은 정규직이 80.3%로, 73.6%를 기록한 비정규직보다 높았다. 반면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에서도 검사를 받지 않은 ‘과소 검사’ 비율은 비정규직 26.4%, 정규직 19.7%였다. 발표를 맡은 황선웅 부경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런 검사 비율의 차이는 확진 및 격리시 비정규직이 겪는 경제적 불이익이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 감염 후 경제적 영향 역시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코로나19에 확진된 정규직 노동자들은 유급 병가를 받은 비율이 36.9%, 무급 병가를 받은 비율은 16.2%였다. 반면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무급 병가를 쓴 비율이 42.1%, 유급 병가를 쓴 비율이 13.8%였다.

확진 후 소득 감소를 경험했다고 답한 비정규직 노동자는 응답자의 51.6%였다. 23.6%에 불과했던 정규직 노동자의 2.2배에 달하는 수치다. 코로나19 확진 후 퇴직을 강요받은 비율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우 10.1%로, 1.5%였던 정규직 노동자의 6.7배였다.

신희주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비정규직, 여성, 비사무직 등은 코로나19에 확진돼도 업무를 지속하는 비율이 정규직, 남성, 사무직보다 월등히 높았다”며 “불리한 노동조건에 있는 노동자들에게 코로나19는 고용 불안정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라고 꼬집었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권두섭 직장갑질119 대표는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 재난 실업수당 도입, 사회연대를 위한 고용보험료 인상제 도입, 비정규직에 대한 사용자 책임 강화 등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