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남해군수 인터뷰
  • 남해 · 박병출 부산 주재기자 ()
  • 승인 1995.11.02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두관 남해 군수 인터뷰/"지역 언론 · 자치단체 새 관계 정립해야"
주재기자단과 군수 사이의 마찰에 대해 군민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지 않나?

나는 남해군 공무원과 군민들이 기자실 문제나 인사, 조직 개편에 대해 집행부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잘 해보겠다는 의지는 좋은데 매끄럽게 처리하는 정치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이라면 겸허하게 받아들이겠지만, 언론 문제라는 게 매끄럽게 처리하기 힘든 사안이라는 점도 말하고 싶다.

젊은 야권 인사라는 점에서, 군수 당선 직후부터 조직 장악력을 확보하는 문제와 기득권층과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하느냐 하는 점이 과제로 지적되었는데‥‥.

아직도 중요한 권한이 중앙 정부에 집중된 상황에서, 기초단체장의 행정 개혁으로 기득권층이 입는 해가 얼마나 되겠나. 이번 일은 지역내 유지 집단으로 변한 주재 기자들과 언론 본래의 사명에 충실할 것을 요구하는 자치단체 사이의 갈등이다. 지금까지 지역 언론은 비판과 대안 제시를 통한 지역 공동체 발전보다 사세 확장에만 매달린 경향이 있다. 이른바 홍보성 기사를 실어주고 자치단체로부터 구독료를 받아온 것이 그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어촌 지역 특성상 지역 신문의 군정 홍보 역할도 크지 않나?

인정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이 자치단체에 대한 견제이다. 지금까지 주재기자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군청 주재 기자'였지 '남해 주재 기자'는 아니었다. 주재기자실 대신 정례 브리핑제를 시행한다고 밝혔고, 부족한 부분은 기자들 스스로 취재 보도하는 것이 공개 행정에 더 효율적 일 것이다.

지나해까지 지역 주간 신문인 <남해신문> 발행인이었는데 어떤 언론관을 갖고 있나?

언론의 3대 기능은 비판과 견제, 여론 반영, 대안 제시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지방지들은 주재 기자에게 취재와 판매를 동시에 떠맡긴다. 취재권을 판매에 활용하는 것을 묵인하고서 언론이 제 구실을 하기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언론의 지적은 김군수의 행정 경험 부족이 군정을 파행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것인데‥‥.

지적대로 행정 경험은 없다. 그러나 위에서 시키는 대로 집행하고 인사권자의 눈치만 보던 관치 행정 경험보다는 창의력과 자율성, 주민에게 봉사하겠다는 헌신성이 자치 행정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일부 계를 굳이 군수 직속으로 두려 한 이유는 무엇인가?

초기 검토안은 정책개발계와 감사계를 직속 기구로 설치하는 것이었지만, 경남도와 실 · 과장들의 의견을 종합해 정책감사실 설치안을 최종 확정했다. 그 아래에 민원처리계 · 정책공보계 · 감사평가계를 두겠다는 것이다. 민선 단체장이라지만 자신의 정책을 관철할 사무관 한 명 함께 들어올 수 없는 상황에서, 직속 참모 기구를 두어 지방 재정 확충 방안을 찾고 정책과 행정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겠다는 뜻이다. 또 감사평가계는 부정의 소지를 없애고 신뢰 받는 행정을 펴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그같은 내용의 조직개편안이 군의회와의 불화설 속에 결국 부결되지 않았나.

군의회가 당초늬 통과 방침을 번복한 것은 주재 기자들의 로비 때문이다. 지방지들은 사실과 달리 군과 의회가 싸우고 있다고 한달 이상 보도해 왔으므로 개편안이 통과되면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물론 의원들에게는 사전에 충분히 협의하지 않은 데 대한 섭섭한 마음도 있었을 것이다. 어떤 정책을 확정하기 전에 지역 지도층과 협의하고 의논하는 과정이 부족했던 점은 반성하고 있다.

어쨌든 지역 분열을 조장하고 군정 역량을 낭비하면서 언론과의 대립을 계속 끌고 갈 수는 없지 않은가.

이번 일을 계기로 지역 언론과 행정의 관계가 자치 시대에 맞게 정립되기를 희망한다. 남해군수와 주재 기자의 인적 갈등이라는 단순 구도로만 보는 것은 사태의 본질을 잘못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 발전이라는 면에서도 좋은 교훈을 놓칠 수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