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肥滿신당’의 숙제, 黨職 나누기
  • 조용준 기자 ()
  • 승인 1990.02.1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구확대 불가피 · ‘노른자위’초대 사무총장 자리에 관심 집중

朴俊炳사무총장, 金東英원내총무, 金龍煥정책위의장. 이는 다음주에 정식 출범하는 민주자유당의 당직 배분에서 일단은 최상의 구도로 보인다. 현재 원내의석수에 따라 총장은 민정, 총무는 민주, 정책의장은 공화에 돌아가는 고른 배분이다.

 이와 함께 신당에서는 부총장, 부총무 등의 ‘副직제’와 수석부총무 등 ‘수석제’의 활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제도들은 하위당직까지도 그대로 원용될 가능성이 높다. 합당으로 인한 인력자원의 과잉을 해소하고 ‘비만한 몸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세분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최근 민정당이 마련한 신당의 당헌은 사무총장실, 원내총무실, 정책위의 기구를 대폭 확대하는 것이 주요 골자이다. 즉 사무총장 산하에 사무 부총장 4명을 두고, 정책위원장 밑에는 3개의 정책조정실을 설치, 각 정책조정실마다 별도의 정책위원회를 두어 3당의 의원 · 당료 · 각료 · 전문위원들을 대거 흡수하는 방안이다. 조직 자체에 대해서는 민주당과 공화당측에서도 별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이 방안이 굳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상위 당직의 최종적인 ‘자리 임자’는 결국 3당의 핵심인물이 망라된 ‘15인 통합추진위’에서 대부분 맡게 될 것이다.

 신당에서 당권의 배분을 과연 어떻게 할 것이냐는 문제 못지 않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은 누가 초대 사무총장이 될 것이냐는 문제다. 비록 내각제이기는 하지만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 정당의 사무총장에 해당하는 幹事長이 총재 다음의 후계자로 인정되는 것이 관례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향후 정치구도가 대통령중심제로 유지되든, 내각책임제로 개헌되든간에 후계구도와 관련,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무총장이 당 전체의 실질적인 운영을 장악하기 때문에 신당내 각계파의 세력확장에는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최근에는 朴哲彦정무장관의 총장기용설이 대두되고 있어 정가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기도 하다.

 그동안 숱한 ‘난관’을 겪어왔지만 결국 盧대통령의 대리인격인 朴장관의 의도대로 정계재편이 이뤄졌고, 그것도 점진적인 재편을 주장했던 민정당 창당파들의 입장이 배제된 채 朴장관이 원하는 대로 ‘속전속결’로 추진되었다는 저간의 사정이 이런 추측을 뒷받침하는 이유의 하나이다.

 그러나 朴장관의 총장기용설은 그의 정치경험이 야당 중진의원들에 비해 아직 미숙하다는  점, 그에 대한 민정당내 반발세력을 효과적으로 무마할 수 있을 만큼 당내 입지를 확고하게 구축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보아 아직은 때가 이르다는 것이 중론이다.

 ‘15인 통합추진위’의 민정당측 공식 대외창구로서 창당작업의 주도세력으로 급부상한 朴俊炳사무총장은 가장 큰 지분을 가진 정당의 현역 사무총장일 뿐 아니라 민정당 내외의 여러 세력들에게 거부감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입각이 예상되는 인물은 민정당에서 南載熙중앙위의장 · 李承潤정책위의장 · 李台燮국책연구소장 · 金重緯정책조정실장 · 金重權사무처장 · 徐相穆정책조정실 부실장등이 꼽히고 있고, 민주당에서는 黃秉泰총재특보 · 金東圭정책의장 · 姜仁燮부총재 등이, 공화당에서는 崔珏圭사무총장 · 具慈春부총재 · 李憘逸종합기획실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각 당에서 이렇듯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입각대상자 이름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 민정당쪽은 “청와대 3자회담에서 내각제 개헌에 앞서 야당 출신의원들이 입각하는 시범내각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느니, 두金총재에게 각료 추천권이 주어졌다느니 하는 이야기가 오갔다는 것은 모두 근거없는 낭설”이라고 부인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지자제선거에 대비해야 한다는 측면과 신당 창당에  따라 현 내각의 전면개편이 불가피하고, 개각을 할 경우 어차피 민정당 중심의 개각은 불가능하다는 이유 때문에 이런 부인은 별로 설득력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민자당 당직을 맡는 것을 전제로 거명되고 있는 인물들이 당직보다는 입각쪽을 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민자당이 원내 의석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 여당이라는 점, 게다가 내각책임제가 될 경우 행정부보다는 黨이 우위를 점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라는 점 등의 이유 때문에 각료보다는 당직쪽에 시선이 먼저 쏠릴 것이 예상된다.

3당 원외인사 처리, 큰 두통거리

신당의 조직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역시 가장 큰 두통거리는 3당 원외지구당 위원장들과 사무처 요원들의 처리 문제이다. 지역구 배정이 현역의원들 위주로 이뤄진다는 것이 명백한 원칙이고 보면, 일종의 소외그룹이 될 수 있는 이들로서도 자구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최근 민정당의 서울 원외지구당 위원장들은 독자적인 모임을 결성, 대비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으나 별 뾰족한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소선거구제를 중선거구, 혹은 대선거구와 소선거구의 병행 형식으로 개정한다고 해도 무조건 국회의원의 정수만 늘릴 수는 없는 노릇이어서 이들의 구제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 셈이다.

 이들의 구제를 위해 원외지구당 위원장 임명은 △지난 13대총선 당시 차점자 우선 △당선 가능성이 있는 위원장 우선 △당에의 공헌도 우선 등의 몇가지 원칙이 거론되고 있지만 그 어느 것도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는 난점이 있다.

 이와 관련, 신당 창당작업의 핵심인물인 여권의 한 고위인사는 “어느 정도의 출혈은 감수할 수밖에 없다. 반발한다면 결국 제거하는 길 이외에 다른 묘수가 있겠느냐”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어 정치세계의 비정한 일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15인 추진위에 속하는 야권의 한 고위인사도 “지역구 문제는 내년에가서 서서히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해 원외의 반발이 진정되는 국면 이후에나 지구당을 조정할 복안임을 시사했다.

 현재 민정당과 민주당의 통합추진위 실무팀은 선거구제 조정, 지구당 조직책 임명 등 실질적인 문제에서부터 내각제 개헌 등의 커다란 문제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부분 이견을 표출하고 있어 4월로 예정된 전당대회 전후에나 구체적 골격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