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민주당, ‘동진(東進) 전략’ 나온다
  • 김종일 기자 (idea@sisajournal.com)
  • 승인 2022.08.26 10:30
  • 호수 17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K 신공항 특별법’ 발의에 TK 몫 비례대표 할당 추진
이재명, 본지 ‘동진 전략’ 질문에 “변함없이 추진하겠다” 응답

‘이재명의 민주당’이 ‘이기는 민주당’으로 가는 길에는 과연 어떤 정책과 전략이 자리할까. 확실한 것은 그 핵심 축에 전국 정당으로 가기 위한 ‘동진(東進) 전략’이 위치할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동진 전략의 핵심에는 ‘사람’과 ‘인프라’, 그리고 ‘연결’이라는 열쇳말이 자리할 것으로 보인다. 

시사저널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의원은 바로 차기 총선부터 국회의원 비례대표에 대구·경북(TK) 몫을 의무 배정하는 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 의원은 전당대회 내내 당세가 취약한 지역을 ‘전략지역’으로 묶어 국회의원 비례대표를 우선 배정하고 주요 당직을 부여하는 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혀왔다. 민주당의 험지에서도 일상적 정치활동이 가능하도록 인적·물적 지원을 확실하게 책임지겠다는 약속도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의원은 당 대표 취임 이후 실제 이런 구상을 추진할 것인지 묻는 시사저널의 질의에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의원 측 관계자도 “이 의원의 당시 생각과 현재 기조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당세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은 강원도와 TK, PK(부산·울산·경남) 등으로 동쪽 지역에 치우쳐 있는데 그중에서도 TK는 험지 중 험지로 꼽힌다. 이에 이 의원이 향후 꾸릴 지도부와 주요 당직에 TK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인사들이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재명의 동진 전략에는 ‘TK 맞춤형’ 선물 꾸러미도 포함될 전망이다. 이 의원은 ‘TK 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TK 신공항 특별법)’ 발의를 검토 중이다. TK 통합신공항 신설은 대구시는 물론 지역주민들의 대표적인 숙원사업 중 하나다. 공항이 대구 도심에 있어 소음 및 안전, 고도 제한 문제 등의 민원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군(軍) 역시 주변 고층건물 등으로 항공작전 활동에 제한을 받아왔다. 

정부는 현재 대구 도심에 있는 대구공항과 바로 붙어있는 군공항과 공군기지를 함께 이전해 2030년까지 대규모 군·민간 통합 공항으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 의원은 이를 특별법 제정을 통해 국비 지원 등으로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최근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은 여야 의원 83명의 동의를 받아 TK 신공항 특별법을 발의했다. 차기 대권을 노리는 이 의원 입장에서는 다음 총선은 물론 대선까지도 주요 이슈가 될 수 있는 TK 신공항 건설에 대한 ‘민주당 안’을 내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할 수 있다. 

이 의원은 TK 신공항 건설뿐만 아니라 광주공항 이전에도 각별한 신경을 쏟고 있다. 이에 TK 신공항 특별법에 광주공항 문제도 묶어 같이 법을 발의할지, 별도로 각각 낼지를 검토 중이다. 여기에 바로 ‘이기는 민주당’으로 가는 전략이 담겨 있다. 바로 ‘국토 균형발전’이다. 이 의원은 8월6일 전당대회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서 “국토 균형발전은 이제 더 이상 시혜나 배려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생존 전략이 되었다”고 했다. 이 의원의 국토 균형발전 구상에는 신공항 등이 권역별 메가시티의 핵심 인프라이자 핵심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철학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인프라에 미래형 일자리 넣는 메가시티 전략 나올까

이 의원은 국토 균형발전 사업을 추진해 나가는 과정을 당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하되 그 중심에 ‘중앙’이 아닌 ‘지역’을 두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이 의원이 주요 당직을 부여하고, 비례대표 후보로 우선 배정된 전략지역의 정치인들이 직접 주요 사업의 협상과 조율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고립됐던 열세 지역의 당원들이 중앙당과 연결되고(점이 선으로), 소외됐던 지역이 균형발전 전략의 중심축으로(선이 면으로) ‘연결되는’ 안을 이 의원이 구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 의원은 이렇게 완성된 축에 기후변화 등 미래 이슈에 올라탈 수 있는 ‘미래형 일자리’를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도입·유치하는 방안까지도 그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