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체로 사라질 국내 일자리 327만 개…60%는 전문직”
  •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 승인 2024.03.13 16: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거 로봇의 생산직 대체와 달라…일자리 소멸 대책 필요”
13일 산업연구원이 발간한 'AI 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AI 노출지수'를 활용한 미래 일자리 소멸 위험 분석 결과 국내 전체 일자리의 13.1%인 327만 개가 AI로 인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됐다. ⓒ로이터=연합뉴스

인공지능(AI)이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일자리가 전체의 13% 수준인 327만 개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대체 가능한 일자리의 60%가 전문직에 집중돼 있어 일자리 소멸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산업연구원이 발간한 'AI 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AI 노출지수'를 활용한 미래 일자리 소멸 위험 분석 결과 국내 전체 일자리의 13.1%인 327만 개가 AI로 인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됐다. 2022년 기준 국내 기업의 AI 도입률은 4% 수준에 불과하지만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일자리 대체 역시 가속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산업별로는 제조업(93만 개), 건설업(51만 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6만 개), 정보통신업(41만 개) 등의 순으로 AI 대체 가능 일자리가 많았다. 직종별로 보면 AI 대체 가능 일자리의 59.9%인 196만 개가 전문가 직종에 집중됐다. 구체적으로 공학 전문가 및 정보통신 전문가의 비중이 높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5만 개)과 정보통신업(38만 개), 건설업(43만 개), 제조업(37만 개) 등에서 일자리 대체 위험이 큰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금융업의 경우 일자리 소멸 위험군의 99.1%가 경영·금융전문가 직종에 몰려 있었다.

송단비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의 노동 대체 양상은 과거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한 것과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며 "AI가 이미 석·박사급 개발인력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노동수요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AI 도입 초기 AI 활용에 따른 고용 대체 효과보다 AI 도입에 필요한 개발 인력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현재 한국은 AI 관련 고학력·전문 연구개발 인재 육성이 당면 과제라고 강조했다. 미국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민간을 중심으로 AI 인력 양성에 매진하고, 중국은 국가 주도로 고급 AI 인재 양성에 집중하는 것 등을 감안해 한국도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민간 투자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언했다.

송 부연구위원은 "AI가 고학력·고임금 일자리인 전문가 직종까지 다수의 노동력을 대체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미래 일자리 소멸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학제 정비 및 해외인력 유치, 민간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